수문을 열 때는 어떤 물이 수문을 통과하느냐만 봐선 안 돼요.

Categories 기예가 미란다에게 미친 영향Posted on

66.
사람들은 포르노 배우에게 배우 데뷔의 길을 열어 주는 걸 받아 들일 수 있어요.
심지어 80년대, 90년대부터 그건 용납이 됐죠.
하지만 그래서 안 된다고 하는 사람들은 그걸 받아 들일 수 없어서 그러는 게 아니에요.
실제로 그렇게 했더니,
배우가 되기 위해서 포르노 배우로 데뷔하는 아이들이 생겨났고,
그건, 사람들이 받아 들일 수 없었죠.

포르노 배우에게 배우 데뷔의 길을 열어준다는 건,
배우가 되기 위해서 포르노 배우로 데뷔하는 아이들도 용납해야한다는 뜻이에요.
저걸 견딜 수 없다면, 애초에 그 문을 열어서는 안 되는 거죠.

나는 견딜 수 있어요.
너는요?

밀레니얼들은 그걸 다 봤고,
그래서 저 네가 말하는 밀레니얼 ‘꼰대’들이 그걸 반대하는 거예요.
나는 그 밀레니얼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게 뭐 별 건가, 개인의 선택이지. 싶어요.
하지만 너는요?

아직 저들이 꼰대로 보이나요,
아니면 내가 윤리적 파산상태에 있는 개자식으로 보이나요?

적어도 내게 저들을 꼰대라 칭하려면,
저들이 자라면서 보고 듣고 생각한 맥락을 다 알아야 해요.
결국, 나처럼 저들과 함께 자라온 사람이 아니고선,
그건 쉽지 않은 일이죠.

너희끼리는 그래도 돼요.
너희는 너희가 보고 듣고 생각한대로 저들을 재단해도 되죠.
하지만 나에게 저들을 욕하려면,
나와 저들이 보는 세상도 알아야 한다는 거예요.

난 늘 시끄럽게 떠들라고 했죠.
하지만 그건 네 의견을 떠들라는 거지,
네 의견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뒷담하는 소리를 높이라는 게 아니에요.
그럴 거면 그냥 입 다물고 있는 편이 백 번 나아요.

67.
저번에도 얘기한 거 같은데,
아니 진짜 왜 소설에 밥 먹는 이야기를 넣는 거야?

응, 못 먹고 못 살던 시절 팬터지야.
그 때는 걸게 차려진 밥상에 대해 논하는 게
뭐랄까 액션이나 섹스 장면 같은 거였지.

그런데 지금은 의미 없잖아.
대체 뭔 필요냐고.
수요가 있다고 해도 영상이 해야할 일이야.
소설에서 액션 시퀀스 묘사가 의미가 있냐는 말도 나오는 판에,
요리요?

응, 섹스는 나가 있어. 그건 언제나, 모든 방향으로 수요가 있어.
그러니까, 요리요? 섹스도 뺄까말까 고려는 해보는 세상에서,
얼마나 먹음직스러운 요리가 있는지 묘사하는데 종이를 낭비한다고?

68.
야구를 언제부터 봤냐는 질문에는 답하기가 좀 애매하다.
내게 가장 오래된 기억은 89년에 무등경기장에서 본 한대화의 3루타다.
3루 쪽 최후열에서 경기를 봤기 때문에 선수들은 그냥 그 시절 야구게임의
도트 캐릭터처럼 보였었는데, 3루로 달려오는 한대화 얼굴은 제대로 볼 수 있었고,
한대화와 눈이 마주쳤었다.
대체 한대화는 왜 그 상황에 주루 코치를 보다 말고 관중석 끝을 쳐다봤는지 모르겠지만,
여튼 그랬고, 그 날 이후 내가 가장 좋아하는 선수는 한대화였다.
그리고 내가 그 때 3루타란 게 뭔지, 얼마나 보기 힘든 건지 잘 알고 있었던 걸 생각하면,
적어도 88년에는 야구를 보고 있었다는 거겠지.

그리고 아마도, 태어나서부터 보고 있었을 거다.
8말9초 광주에서, 해태 타이거즈는 종교였다.
그것도 장식품처럼 겉에 다는 동아시아식 종교가 아니라
생활에 밀착되어 있는 유럽식 종교였지.
그렇기에 언제부터 야구를 봤냐는 질문은 좀 의아하다.
내가 기억할 수 있는 건,
언제 야구를 보지 않았냐지,
언제 보았냐가 아니야.

하지만 오히려 그래서,
난 저 야구에 과몰입하는 소위 ‘진짜 팬’들을 이해를 못하겠다.
야구는 라디오로 듣고, 기록지로 읽는 게임이다.
보지 않아도 볼 수 있고, 나아가서는 보지 않아야 볼 수 있다.
1년에 400시간, 500시간을 박아 전경기를 본다고?
버릴 경기를 빠르게 버리는 것에 분노한다고?
그건 야구를 보는 게 아니라 뭔가로부터 도망칠 곳을 찾고 있는 거 같은데?

69.
내게 있어서 후한사는
광무제-장제에 이르는 후한 성립사와
환제부터 시작하는 중후기 막장 깽판사라서,
장제-환제 사이의,
어린 황제 전성기 역사를 잘 몰랐다.

대충 화희황후와 양기 얘기를 듣기는 했어서
그 어름이 어떻게 돌아갔는지
대충은 알고는 있었지만 세부사항은 몰랐어.
(그러니까 태후들이 갓난애 황제로 올리고 ㅈㄹ하다
권신한테 공이 넘어가서 왕망 꼴이 날 번 했다… 정도)
그래서 화희황후가 전소제의 어머니인 줄로 알았다.
그게…. ‘소제’잖아.
화희황후 아들은 두 돌도 못 보고 죽긴 했지만
어쨌든 화제 죽은 다음해까지 살아 있어서
연호 내리고 시호 받은 정식 황제고 소제는 아니란 걸
뭐 딱 상상하긴 힘들었지.

한 황후 시호야 보통 황제 시호를 따라가니
화희황후는 화제의 황후라는 거야 당연하긴 한데,
뭐 그냥 아, 화희황후니까 화제 황후겠구나.
화제 황후가 이런저런 일을 했겠구나…라고 상황을 정리할만큼
저쪽에 관심이 없었던 거지.

어쩄든 그래서 난 화희황후가 자기 갓난 아들이 죽은 뒤로
그 자리를 대신할 방계 황족을 수배하다
그 ‘자기 아들의 배다른 형’인 전 태자한테 역공을 받아 쫓겨났다…라고 생각하고 있었고,
(그러니까 화희황후의 며느리격이고, 전소제의 어머니인 안사황후가 겪은 일이
화희황후가 겪은 일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양기가 전 태자를 옹립한 게 아니라,
전 태자가 스스로 황후와 싸웠다고 생각했어.)

+
어라? 이거 왜 뒤가 짤렸지?

이 병신 같은 편곡은 대체 뭘까?

Categories 이모젠식 정의Posted on

앨범에선 아무 인상도 못 남기고 넘긴 노래인데,
뮤직비디오가 있길래 각잡고 들어보니…

… 진짜 뭘까?
뭔 병신짓거리지?
저 드럼 뭐야? 진짜 뭐야? 베이스도 개지랄인데, 드럼은 진짜 뭐야?
아니 저 미묘한 ‘강하지도 약하지도 않게 개지랄 내기에 가장 적당한 볼륨’을 어떻게 유지하는 거야?
아니 시발 왜 사샤 슬론 노래를 이런 식으로 만드냐고요.
얘가 무슨 멜로디 낮춘 반주에서 낮게 읖조리며 음색으로 핵 실험해서
다 제끼고 터뜨리는 부류의 가수야?
아니잖아.
얘는 핵 못 터뜨려요. 기껏해야 수류탄이나 터뜨리는 애라고.
그럼 드럼 베이스는 아래로 깔아야지.
아니면 존나 위에서 꽝꽝 두들겨서 짓눌린 보컬이 터져 나오는 대비를 노리던가.

아니 나도 킹 헨리가 병신 프로듀서인 거 알아.
근데…

이건 전부 피아노에 맡기면서 잘 죽였잖아?
왜 잘 죽이던 애들이 또 이 지랄이야?

응? 드럼 베이스 올리려면

이 정도 볼륨으로는 올리든가.

진짜 만들고 안 들어 봤나?
어떻게 볼륨 밸런스를 저따위로 해 놓을 수가 있지?

그냥 어이가 없잖아.
저 드럼 거슬린다는 걸 모를 수가 없는데
왜 저 따위로 완성해서 내놓냐고.

+
이거 몇 번 더 들어보니까,
보컬이랑 메인 멜로디 아래에서 시작하는 것도 문제인데
올라갈 때 드럼이 같이 엘리베이션하는 게 뭔 말도 안 되는 개짓거리인지 모르겠다.

왜 저래? 아니 진짜 저기서 드럼은 왜 올려?
보컬 압력 높이고, 멜로디 올렸으면,
드럼은 제자리에서 자기 일 해야지.
드럼을 왜 올려?

아니 그냥 이해가 안 되잖아.
왜 저래?
진짜 왜 저래?
무슨 노래 처음 만들어보는 초짜 새끼들도 아니고
저걸 왜?

보름간, 아무 일도 없었답니다.

Categories 로빈 굿펠로우의 전언Posted on

7트랙,
그나마도 요시카 콜웰이 EP 이틀 전에 내놓은 싱글까지
기존 공개 곡으로치면
전부 기존 공개곡.

………..
사샤 슬론 개 뻘짓 하고 있는 거야 뭐 예상하던 일이지만,
재나 아무것도 안 한 거나
루카 바스타 맛 간 건 좀 뼈아프네.

데스티니 로저스나 조디 니콜슨도
뭐 해야하는데 안 했고….
오스턴도 몰리 한 트랙 건질만 하지만 기대치에 못 미친 건 맞지.
(+ 그러고보니 오스턴 꾸준히 이 ㅈㄹ한 것 같아서 훑어 보니…
그렇네. 얘 지금껏 EP 한 장 당 한 곡씩만 했네.
그 한 곡씩이 늘 연간 베스트 올라갈 수준이어서 기대치가 높았던 건데,
이러면 기대치를 좀 낮춰야겠네. 아, 걘 또 한 곡만 하겠지. 수준으로.)

뭐 어쨌든, 그래서:
지난 보름간, 아무 일도 없었답니다.
그렇게 넘어가죠.

“내가 그것도 모르고 이 짓을 할까봐요?”

Categories 어린 아름다움에 대한 찬가Posted on

지난 싱글에 나 말고도 ‘너 코어스 아니?’란 반응을 보인 노친네들이 좀 있었는데,
이 아가씨 응답이…
그냥 틴 휘슬 갖다 박아 버리는 거 개 웃기네.

뭐랄까 우리는 무시했다기보다는 좀 조심스럽게
저 싱글의 의도를 묻는 쪽이었는데,
이 아이는 발끈하며 내가 그런 것도 모를까봐요? 이걸 어디서 배웠겠어요?
하고 있는 게 참….

일단 이 노래가 지난 싱글보다는 훨씬 이 아이 스타일에 잘 맞는 방향이기도 하고,
뭔가 나갈 방향도 확고한 게 마음에 들기는 하는데,
여전히 그래서 어디까지 갈 거니?란 방향으로 걱정스럽긴 하다.
결국 그 코어스가 실패했다는 게 너무 큰 짐 같아.

넌 또 시발 누구세요?

Categories 이모젠식 정의Posted on

하며 구독 목록에서 영상을 눌렀지만,
당연히 누군지는 알고 있었다.
이 아가씨가 아무리 얼굴에 개성이 없고,
내게 지독한 안면인식 장애가 있다고 해도….
작년에 Good All On My Own 뮤직비디오를 TP에, OQOP에,
WfGA까지 (후보에도 못 오르긴 했지만 후보에 올릴까 말까를 가장 많이 고민했다.)
하면서 30번씩은 돌려봐야만 했는데
이 아가씨 얼굴을 못 알아 볼 리가 없잖아.
누군지 아니까 굳이 ‘시발’까지 나온 거지.

네, 예전에 “예전에 비비 안이라 불렸던 보위”라 불렸던 BOVIY씨였네요!

진짜로 육성으로 욕부터 나오고 시작했지만
솔직히 이 이름 바꿔야 하는 이유야 공감하는 편이다.
bowie라니, 처음부터 미친 거 아니냐고 했잖아.
그래, 바꿔야지, 바꿔야 하는데….

boviy는 대체 뭐 어쩌란 이름임?
아니 검색 가능한 이름을 갖다 주라니까
이젠 읽을 수 없는 이름을 갖다 놓고 검색 가능하죠? 하는 거임?
제정신인가?

좋아요.
이름은 검색 가능하기 이전에,
심지어는 쓸 수 있기 이전에,
읽을 수 있어야 해요.
아니 그냥 이름이란 것의 기본 기능이라고요!
너는 독일인이라서 boviy가 bowie와 비슷한 발음으로
완벽하게 검색 가능한 이름이라고 생각했는지 모르겠는데,
영어는 게르만어 족 내에서 ‘w와 v를 가장 크게 구분하는 언어’이고,
게르만어족 밖의 다른 언어에서는 그런 영어의 발음 구분을 자 언어로 옮길 때
아예 다른 음소로 옮겨서 그 분절을 강조해요.
진짜 이게 뭔………..

정말 뭘 어쩌란 거지?
다른 건 그렇다치고,
나는 어떡하라는 거지?
저거 한글로 어떻게 표기하라는 거야?
뭐 봅이라고 해야 되나?
음?
어라?
되는 것 같….은데?

네, 이제부터 이 아가씨의 이 블로그 내 공식 표기명은
‘예전에 예전에 비비 안이라 불렸던 보위라 불렸던 봅이’입니다.
그렇게 쓰면 tp 라인 넘어 가지 않냐고요?
알게 뭐야.

난 다른 그 어떤 것에도 진심이 아니지만,
오직 조롱에는 진심입니다.
다른 거 다 줄일 지라도 저건 한 글자도 못 줄이지.

이런 애한테 마커 찍을 가치가 있을까?

Categories 이모젠식 정의Posted on

유튜브 뒤적거리다 주웠는데,
하 베이 급은 아니어도 만만찮은 음색 원 툴 가수다.
노래를 잘 쓰지도 못하고, 잘 부르지도 못 해.
하 베이처럼 음색으로 등 찌르는 것도 잘 못 해.
애초에 이거 찌를 수는 있는 음색인가?
하 베이식 백스태빙은 두터움이 아예 없이
송곳처럼 가볍게 직설적으로 찔러 들어가야 하는데,
얘는 상당히 두터워서 쉽지는 않아 보이지.

이거 하는 걸 보면 딱 해너 그레이스 마이너 카피인데….
그런데…

해너 그레이스 마이너 카피라고 그냥 판결 내고 쓸어 버리자니…
정작 그 해너 그레이스가 얘보다 더한 ‘해너 그레이스 마이너 카피’였는 걸.

물론 해너 그레이스는 좀 특수한 예지.
내가 해너 그레이스가 ‘해너 그레이스 마이너 카피 짓’하는 걸
안 버리고 지켜봤던 이유는,
그 아가씨가 세탁해버린 데뷔 앨범이 정말로 내게 크게 어필을 했기 때문이었어.
언제 이 잡질 그만두고 세탁한 스타일로 돌아가려나 하고 지켜본 거였지.

그리고 해너 그레이스는 결국 작사 작곡 능력과 가창력, 적어도 성량이 보장 돼 있었지.
스타일을 바꾸고 처음 하는 걸 하니까 노래를 제대로 못 뽑았던 거지,
결국 잘 만드는 애들은 뭘 만들어도 잘 만드는 법이고,
원래부터 성량빨로 하던 노래에서
성량에 묻히는 자기 음색이 아까우니까 스타일을 바꾼 거니,
수 틀리면 얼마든지 성량으로 밀어 덮어 버리는 게 가능했다고.

해너 그레이스 그 개짓거리 하는 동안 내가 별 불평 없이 지켜보고,
마침내 해너 그레이스가 그 바꾼 스타일로 이전 스타일을 넘어서는 성취를 해 온 건,
충분히 그럴 법 했기에 일어난 일이라는 거야.
아니, ‘충분히’ 그럴 법 했다는 건 좀 과한 표현이고,
저게 꿈도 못 꿀 일은 아니었을 정도는 그럴 법 했다는 거지.

근데 이 아이는 달라.
보컬 다루는 법부터 다 새로 배워야 해.
작사 작곡 기본기부터 전부 쌓아야 해.
해너 그레이스의 성량 같은 안 풀렸을 때의 우회 카드?
지금 툴을 하나 이상 숨기고 있는 게 아니라면 아무것도 없어 보여.

음.
그래서 모르겠어.
이성적으로는 마커 하나가 아까울 것 같은데,
마음은 끌……………….
….리려다 라이브 영상에서 호흡 개 같이 무너지는 걸 보면서 그저…

지나 갈게요.
안녕히 계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