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 만인데도 별 대단한 건 보이지 않는 전언입니다.

Categories 로빈 굿펠로우의 전언Posted on

1. 비아트릭스 데뷔 앨범 (7-0.2)

글쎄? 이것보단 더 해야 하지 않나?
싱글에서 보여준 장점들이 너무 그냥 묽게 희석 된 느낌

2. 에이버리 애너 데뷔 앨범 (5=)

일단 내 장르도 아닌데다
내 장르래도 뭐라 평할지를 모르겠다.

3. 별거안냐 새 EP (7+0.3)

이름처럼 별 거 없긴 한데,
그래도 5트랙 EP에 3트랙 건졌으면 나쁘진 않잖아?

4. 입스 카리다스 소포모어 앨범 (3-1.2)

개성은 그냥 날려 먹고는
이거 하면 팔리지 않을까? 하고 자빠져 있는 꼴이 진짜 너무하네.
아니 팔고 싶으면 제대로 각잡고 해야지
그냥 뭐 대충 이런 거 찌끄리면 팔리지 않아? 하고 있다고?
아니 팔려도 원래 네가 하던 게 더 잘 팔린다니까?
그냥 대충 뻔한 노래 만든다고 팔리는 게 아니야
세상에 뻔한 노래가 많으니까 팔리는 노래 중에도 뻔한 노래가 많은 거지,
뻔한 노래 만든다고 팔리는 게 아니라고!

5. 줄리아나 매드릿 새 EP (6+0.5)

나쁘지 않아,
근데 뭐 딱히 대단한 것은 없기도 해

6. 헤이 바이올릿 소포모어(?) 앨범 (5+0.3)

아니 얘네 이게 소포모어야?
7년만에 내놓은 소포모어라고?

아, 2019년에 준비 중이던 앨범이 코로나로 날아간 거구나
뭐… 글쎼.
모르겠다.
굳이 가타부타 언급할만한 가치는 없어 보이긴 해.

7. 올리비아 오브라이언 새 EP (평가 안 함)

??????????????
누구세요?
진짜 누구세요?
내가 알던 올리비아 오브라이언이 아닌데?

생각해보니까 요즘 몇 번 연속으로 얘 또 컨트리 하네 하고
싱글들 한 소절 툭 들어보고 던진 기억은 있는데,
이렇게 본격 컨트리로 전환하고 있었다고?

8. 반스 커트니 새 앨범 (7=)

어…. 지금껏 해온 것에 비해서 지나치게 별 게 없는데?

로웨나 와이즈 – Life of the Party

Categories 멘델스존의 꿈Posted on


번역이 썩 마음에 드는 건 아니지만, 일단 이대로 던질래.

I didn’t wanna doubt a simple life for what it lacked
But when you called out, I stepped off of the beaten track
Melted down my crown into promise rings instead
Tip-toed to town, found you down on a garden bed

뭐가 부족하든, 난 단순한 삶에 의문을 품고 싶지 않았어
하지만 네가 불러낸 날, 익숙한 길에서 내려 서고 말았지
내 왕관을 녹여 약혼 반지로 갈음했어
조심스럽게 시내로 내려와, 어느 화단 위에 쓰러진 널 찾았지

’ve known some lonesome men but you take the cake
You’re the life of the party with a black dog in your wake
I was loud and proud and poised when the poison hit
I fell into your arms again

외로운 남자야 좀 알아왔지만, 개중 네가 최고야
깨서도 악몽을 달고 다니는 네가 없으면 파티도 없지
난 당당하고 거침없었지, 독이 퍼지던 때도 침착했어
하지만 다시 네 품 안으로 빠져들고 말지

A fear that I forgot, I found her wandering in your sheets
For somebody I’m not, you crumble to your knees
I don’t know how you can comodify my heart
I’m the whole damn band reduced to the album art

잊고 있던 두려움을 다시 찾았어, 그 아이는 네 이불 안에서 떠돌아 다니고 있었지
내가 아닌 다른 이에게, 넌 무릎을 꿇어 보였지
어떻게 네가 내 심장을 사고 팔 수 있는지 모르겠어
난 모든 걸 다 알아서 한 빌어먹을 밴드인데 그저 겉 표지만 남았지

’ve known some lonesome men but you take the cake
You’re the life of the party with a black dog in your wake
I was loud and proud and poised when the poison hit
I fell into your arms again

외로운 남자야 좀 알아왔지만, 개중 네가 최고야
깨서도 악몽을 달고 다니는 네가 없으면 파티도 없지
난 당당하고 거침없었지, 독이 퍼지던 때도 침착했어
하지만 다시 네 품 안으로 빠져들고 말지

Well I’ve known some lonesome men but you take the cake
You’re the life of your party with a black dog in your wake
I was loud and proud and poised when the poison hit
I fell into your arms again

뭐 외로운 남자야 좀 알아왔지만, 개중 네가 최고야
깨서도 악몽을 달고 다니는 네가 없으면 네 파티도 없지
난 당당하고 거침없었지, 독이 퍼지던 때도 침착했어
하지만 다시 네 품 안으로 빠져들고 말지

back online

Categories 어린 아름다움에 대한 찬가Posted on

메인 SSD를 nvme로 업그레이드 하던 중에
efi 날려 먹고 개뻘짓을 한 끝에 복구했습니다.

현재는 슬롯 부족해서 앙트레포는 뽑혀 있고,
파티션 정리하느라 빈 드라이브가 필요해서 프런트데스크를 다 비웠고,
백업 페어링도 아직 안 돌아가서 백업 드라이브가 비어 있는 상태

뽑아 놓은 E드라이브 하드가 원래 프런트데스크라서
아파치 서버가 있던 유일한 7200rpm 하드인데
이리저리 파일 옮기고 디스크 이름 바꿔놓고 보니 헷갈려서
5400rpm 하드들만 남기고 저걸 뽑아 버렸어요.
(프런트데스크는 분류 전 파일들이 거쳐가는 말 그대로 ‘프런트데스크’라서
그래도 빠른 하드가 필요한데, 다시 본체 뜯고 하드 바꿔 끼우긴 귀찮아요.
sata SSD를 고용량으로 박아넣으면 또 모를까, 굳이 5400/7200차이에…
근데 sata ssd 4테라 제일 싼 게 웨디 블루 35만원인데 이거 맞나?
이제 만드는 곳도 별로 없긴 하겠지만 그렇다고 nvme랑 같은 가격대라고?)
그래서 서버 속도가 미세하게 감소할…. 리는 없죠. 뭐 얼마나 큰 파일을 억세스한다고.

efi 복구하느라 1년간 해체해 놨던 서버 재조립해서 윈도우즈 부팅 USB 만들고 난리 친 덕에…
뭔가 한 건 하나도 없는데 머리가 입력을 거부하는 상태라
드라이브 변경으로 인한 자잘한 오류들은 천천히 고쳐질 겁니다.
뭔가 작동하지 않는 게 있다면 이 글에 리플로 알려주세요.

+
기존 sata ssd를 새 nvme로 클론해서 부팅할 때는 멀쩡했는데,
sata ssd 시스템 파티션 날리고 포맷할 때 efi가 날아간 거 같은데…
솔직히 왜 날아간 건지도 잘 모르겠고,
부틀로드 새로 써서 복구한 지금도
부팅할 때 뭔가 한 단계 더 거치는 것 같은 게 제대로 복구한 게 아니라
내가 새로 쓴 부틀로드가 기존 설정을 오버라이드하고 있는 느낌이다.
efi랑 부트렉은 진짜 모르는 분야라서
뭔가 문제 생길 때마다 그냥 내가 이해한대로 투닥투닥 필요한 명령어 찾아다 고치는데…
내가 해놓은 게 제대로 짜깁거나 완전히 밀고 새로 만들었다기보단
더덕더덕 패치워크 기워 붙이는 거라서 괜히 그렇게 느끼는지도.
오늘은 이건 부트렉으로 복구가 왜 안 되나요? 검색해보고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으니 확실한 건 다 지우고
부틀로드를 아예 새로 써서 올리는 거예요 하는 마소 기술 답변 보고
한 땀 한 땀 흩어져 있는 것들 다 지우고 새로 부틀로드를 쓴 거라
저 지워야 하는 것 중에 뭐 빼먹었을 수도 있고.

+
예전에 엑박 one x에 물려 놨던 1테라 sata ssd가 하나 있다는 생각이 나서
여기저기 탈탈 털어보니 외장 케이스에서 나오네.
프런트데스크를 이 ssd로 교체함.
그럼 이제 i드라이브가 생기는 건데-_-
i는 이름을 뭐라고 하지?

Life of the Party를 번역하고 있는데…

Categories 이모젠식 정의Posted on

1절은 문제 없이 완성 됐는데, 콰이어부터 살짝 삐끗하고 2절이 좀 어렵다.

I didn’t wanna doubt a simple life for what it lacked
But when you called out, I stepped off of the beaten track
Melted down my crown into promise rings instead
Tip-toed to town, found you down on a garden bed

뭐가 부족하든, 난 단순한 삶에 의문을 품고 싶지 않았어
하지만 네가 불러낸 날, 익숙한 길에서 내려 서고 말았지
내 왕관을 녹여 약혼 반지로 갈음했어
조심스럽게 시내로 내려와, 어느 화단 위에 쓰러진 널 찾았지

I’ve known some lonesome men but you take the cake
You’re the life of the party with a black dog in your wake
I was loud and proud and poised when the poison hit
I fell into your arms again

외로운 남자야 좀 알아왔지만, 개중 네가 최고야
깨서도 악몽을 달고 다니는 네가 없으면 파티도 없지
난 당당하고 거침없었지, 독이 퍼지던 때도 침착했어
하지만 다시 네 품 안으로 빠져들고 말지

콰이어에서 문제가,
저 a black dog in your wake이 영어로는
굉장히 그 의미를 바로 깨닫기 힘든, 재미있는 표현인데
한국어로는 마땅히 그 의미를 숨겨 번역하기가 어렵다는 거다.
black dog in your dream = 악몽, 근심거리를
black dog in your wake으로 꼬아 놓은 표현인데,
한국어에선… 음. 못 숨기잖아?
그리고 저 ‘하지만’도 문제다.
이게 이 콰이어가 첫번째에는
take the cake이나 life of the party가 반어임이 확실하지 않아야 한다.
그런데 a black dog in your wake의 의미가 확실하게 전달 되는 한,
저게 반어란 걸 바로 깨달을 수밖에 없다는 거지.
그렇다면 굳이 저 ‘하지만’을 빼면서 원어를 따라갈 필요가 있을까?

A fear that I forgot, I found her wandering in your sheets
For somebody I’m not, you crumble to your knees
I don’t know how you can comodify my heart
I’m the whole damn band reduced to the album art

이 두려움을 잊고 있었어, 그 아이가 네 침대 안에 떠도는 걸 알게 됐지
내가 아닌 다른 누군가에게, 넌 무릎을 꿇어 보였어
어떻게 네가 내 심장을 사고 팔 수 있는지 모르겠어
모든 걸 다 알아서 한 빌어먹을 밴드인데 그저 겉 표지만 남았지

2절이 좀 총체적 난국인데,
첫 행은 진짜 개 난감하다.
저 첫 행 번역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her <= fear / fear <= her이라는 거다.
‘잊고 있었던 두려움을 찾았어’에서 her이 마치 fear인 것처럼 받은 다음,
뒤에서 her이 이 남자의 침대 시트 안을 떠돈다 함으로써
her이 fear이 아니라 fear이 her의 존재라는 것을 각인시키는데,
시발 이걸 한국어로 어떻게 하냐고?

2행에서도 지시어 문제가 있지만 뭐 그런거야 대충 넘기고,
다시 4행이 문제인데….
whole damn band 어쩔 거야?
이게 결국 저렇게 whole band이 가진 의미를 풀어 쓰는 방법 밖에 없는 것 같은데,
마음에 안 든다.

이게 사실 the life of the party 번역어 찾기가 어려워서
(파티의 생명이라고 할 순 없잖아)
처음부터 번역할 생각 않고 있다가,
저걸 ‘네가 없으면 파티도 없어’로 번역하는 게 떠올라서 붙든 번역인데,
어우… 여기저기 지뢰가 너무 많아.

Reduced to the Album Art

Categories 페르디난드의 제안Posted on

Reduced to the Album Art은
OQOP, oqtp 수록곡 배제, TP 수록곡 최소화를 기본 방침으로 만든
2024년 상반기 베스트 플레이리스트입니다.


1. 라임 정원 – Fears (One More Thing #08)

2. 아스트리 S – Power Move (Joyride #06)

3. 엘 콥스 – Outrun This Feeling (Selfishly Inclined #05)

4. 케이틀린 타버 – Revisionist History (Quitter #08)

5. 위노나 오크 – Fire Escapes (Void #02)

6. 절박한 주푸들 – SLUT ERA (Welcome to the Lane #02)

7. 미아 베륵 – Summer (Winners #01)

8. 로웨나 와이즈 – Life Of The Party (Senseless Acts of Beauty #06)

9. 바이얼 – apathy (burnout #10)

10. 애비게일 오스본 – Sick (how do you know when it feels right? #03)

11. 샬럿 데이 윌슨 – Canopy (Cyan Blue #08)

12. 피비 스타 – One Step. Two Step. (Dirt #01)

13. 섬망의 프랜시스 – Something’s Changed (Lighthouse #09)

14. 사샤 시엠 – Starting Again (True #08)

갑자기 쏟아진 풀앨범 10장과 함께하는 전언

Categories 로빈 굿펠로우의 전언Posted on

1. 하 베이 데뷔 앨범 (8-0.8)

Baby I’m the Wolf이 줬던 충격에 비하면 그저 그런 앨범이지만,
얘 음색 원툴이잖아?란 결론이 난 뒤의 기대치로 보면
꽤 잘 뽑아 왔다.

2. 파울라 달라 코르트 데뷔 앨범 (7+0.4)

결국 싱글 네 곡 말고 어필할 노래가 없다는 건 좀 걱정되긴 한다.

+
이 아가씨 성은 ‘어말 중설중모음은 ㅏ로 표기한다’는 내 한글 표기법 대원칙에 따라
코르타로 표기해왔는데,
그냥 ‘중설중모음이 약음으로 발음 되는 경우, 필요하다면 ㅡ로 표기한다’는
예외 세칙 적용해서 코르트로 표기하는 게 좋을 거 같다.
본인도 그렇고 코릇…하고 죽여 버리는 애들이 많네.

3. 그레이스 에이브람스 소포모어(?) 앨범 (7+1.0)

중간중간 의아한 시도가 있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틀을 잘 잡았어.
훌륭한 앨범인가? 하면 고개는 저어지는데,
고개 젓기까지 좀 망설임이 있을 정도.

4. 레슬리 멘델슨 새 앨범 (4+0.1)

근데 이런 앨범은 뭔 의미가 있나요?

5. 로렌스 새 앨범 (6-0.3)

더 잘할 수 있지 않나?
더 잘해야 하지 않나?

티나 디코
월광조찬
새러 클로즈
미건 윈저
루나 섀도우스
케이트 내시
장미와 혁명
스텔라 콜
에밀리아나 토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