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ovocation, the pretence, the denial and the invention은
2022년의 마지막 컴플르먼트 세트입니다.
the Complement of 2022 dc: the provocation
the Complement of 2022 dg: the pretence
the Complement of 2022 dh: the denial
the Complement of 2022 de: the invention
the provocation, the pretence, the denial and the invention은
2022년의 마지막 컴플르먼트 세트입니다.
the Complement of 2022 dc: the provocation
the Complement of 2022 dg: the pretence
the Complement of 2022 dh: the denial
the Complement of 2022 de: the invention
TP는 한해 동안 내 마음에 드는 싱글을 내놓은 유망주들을 정리하는 연간 스레드입니다.
+
도디랑 올라 가틀란드는 하 진짜 몇년째 유망주를 해먹으려는 건지,
이 잉여년들을 어째야 쓰까 싶지만….
결국 꼬박꼬박 내놓는 노래들이 유망주 레벨에선 눈에 띄는 것도 사실이고,
둘 다 워낙 어릴 때 활동을 시작해서 아직도 스물다섯 밖에들 안 됐어-_-
그리고 결국 그 많던 유튜브 커버 가수들 중 제대로 살아남은 거 저 둘 밖에 없기도 하고.
둘 다 커버할땐 개 잉여년이었는데 결국 자기 작곡 능력으로 살아남기도 했고….
++
결국 둘 다 데뷔 앨범을 내놓았는데…
올라 가틀란드는 자기 능력을 증명하는데 성공했고,
도디는 실패했다.
물론 올라 가틀란드는 애초에 2012년, 2015년 EP가 급이 다르긴 했지.
도디가 5년간 싱글 두세 개를 잘 뽑는 동안,
올라 가틀란드는 10년간 EP 두 장을 잘 뽑았어.
근래에 올라 가틀란드가 삽을 많이 떠서 평가가 너무 흐릿해져 있었던 거지,
처음부터 도디랑 같은 열에 세울 아이가 아니었네.
+
사미 그랑프리 – 뷔 라름 출신인 엘라 마리가
사미 토양으로부터 이탈 하는 걸 꽤나 오랫동안 걱정했는데,
이걸 제대로 표현하지는 못해왔었다.
아키가 개판 치고 접은 이후로 엘라 마리는 현재 공석인 내 사미 토큰-_-의 강력한 후보였고,
그래서 저 걱정을 뱉어놓으면,
‘아니 넌 남아서 내 인종/문화권 배분 토큰 노릇 해줘야지.’ 같은 말이 돼버리니 말이다.
간혹 사미 토양 버리고 이딴 의미 없는 거나 해야겠어? 정도의 말은 해왔고,
워낙 커다란 걱정이었으니 종종 새어 나오기도 했지만,
(몇번인가 나도 모르게 썼다 지운 기억이 있다.)
정말로 가슴속에 담긴 불안은 제대로 못 꺼내놓았지.
올초에 내놓은 소포모어 앨범이 사미 자산과 컨템포러리 실험을 정말 잘 조화시켜서 다행이다.
+
이제 하이틴에 접어드는 그레이스 밴더월이 ‘아빠 저 잘했죠?’로 대변되는
멍청한 스타일을 탈피한 건 마음에 든다.
왠지 이 꼬맹이는 그래도 2002년생쯤은 된 것 같아서 너무 늦은 거 아닌가 싶었는데,
이제 열일곱되는 열여섯이면 적당한 정서적 성장곡선을 그리고 있는 거네, 뭐.
+
힐다 스코르는 올해의 8트랙 30분 앨범은 물론
작년의 8트랙 + 2인터미션 트랙 25분 앨범도 EP로 취급한다는 걸 확인하고 좀 어이가…
저기요?
EP로 취급하고 싶으면
8트랙 앨범에 인터미션 두 개 넣어서 10트랙 꽉꽉 채우는 짓은 하지 말라고요!
5트랙에 인터미션 다섯 개 넣는 개짓거리는 개짓거리여도 EP인가보다 하지,
세상 누가 8트랙 앨범을 10트랙으로 만들어 내놓은 걸 보며
아무리 25분만 딱 채웠다고 해서 그걸 EP라고 생각해?
+
슬슬 문제가 되는 게,
TP 목록에 올라갈 때는 경력 세탁을 해서 과거 앨범에 대한 접근을 막아뒀다가,
앨범 내놓고 신인으로 얻을 수 있는 이득이 사라지자 과거 앨범을 다시 공개하는 애들이다.
이런 애들이 있을 거란 거 예상 못한 건 아니지만,
이러는 걸 발견할 때마다 예상한 거 이상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서…
그냥 스트리밍 공개 앨범을 기준으로 데뷔/소포모어를 규정하는 건
아예 포기해야할까 생각중이다.
저건 물론 내가 중간중간 정보 확인을 쉽게 하기 위해서 만든 기준이지만,
좀 더 번거로운 쪽이 이런 거에 하나하나 실망하고 스트레스 받는 것보단 나은 것 같아.
++
이게 참 뭐랄까, 인간적인 실망이 크다.
경력 세탁은 이해할 수 있다. 자기 안 팔린 전작이 앞으로도 커리어에 발목을 잡을 상황에서
그걸 비공개하고 신인인양 하는 거야, 오래 고민하고 자존심을 꺾는 결정을 하는 거다.
그런데 그렇게 꺾인 자존심에 부목을 이어 붙이고는 아무일도 없었던 양 하는 건,
그건 자존심을 꺾는 수준이 아니라 아예 말살을 하는 수준이지.
아니, 애초에 자존심이라고 부를만한 게 없어야 가능한 짓이지.
+
MNDR이 올해 내놓은 게 소포모어 앨범이었어?
……..
7집 가수 아니고?
-_-
아니 2012년 데뷔면 정상적인 3년 간격이라도 4집이어야 하고,
MNDR은 해마다 활동을 꾸준히 하지 않았나?
진짜 2년에 앨범 하나씩 내놓은 것 같은 느낌인데…
-_-;;;
+
엘리엇 리가 pink(freak)으로 확 떴을 때는 그 가장된 불안정함이
내 판정유예 회로를 건드려서 몇번 더 지켜보자는 결론을 내렸는데,
정작 저렇게 자연스럽게 안정된 노래를 하니 대중 반응도 가라앉는 건 뭐랄까….
+
이번에 틱토커들을 대거(?) 목록에 올리면서 느낀게…
확실히 순도가 낮긴 낮다는 거다.
리지 믹알파인 때문에 문호개방-_-을 하긴 했는데,
기껏해야 두섯 건지자고 저거 다 훑어 보는 건 도저히 못하겠어.
유튜브 커버 가수들은 어쨌거나 음색에 경쟁력이 있었는데,
이 아이들은… 가끔 멜로디에 경쟁력이 있는 애들도 있긴하지만
그걸 두 소절까지 늘리는 걸 못한다.
+
메이지 피터스는 싱글 퀄리티 이상으로 순위를 상향조정할 필요가 있어보인다.
정석적인 보컬도 아닌 일개 보컬릿이,
이렇게 다채로운 접근으로 자기 단점을 씹어먹고 장점을 확고하게 어필하는데,
이게 이 정도 케이스가 쌓였으면 이젠 믿어줘야지.휴가 끝나고 복귀하면 바로 조정해야겠다.조정 완료…하긴 했는데,
그동안 내놓은 데뷔 앨범이 6포인터로 꼬라박아서 뭐랄까 좀 의아한 조정이 되긴 했네.
베스트 싱글 플레이리스트는 2021년에 처음 제작을 시작했으나,
여러가지 이유에서 이후 제작이 취소된,
당해 나온 싱글들로 만든 베스트 플레이리스트입니다.
원래는 베스트 플레이리스트 대우로 만들어졌지만,
다음 해부터 격하되어 현재는 컴플르먼트 플레이리스트로 대우합니다.
the Best Singles of 2021 AD: formAlly inviteD
the Best Singles of 2021 BE: Blood on a spinning whEEl
the Best Singles of 2021 CF: kiCking myselF with my gut in a knot
TP는 한해 동안 내 마음에 드는 싱글을 내놓은 유망주들을 정리하는 연간 스레드입니다.
이하는 올해 TP 변경 사항입니다.
0. 사실 틀을 잡다보니, 아래 변경 사항 때문에
더 이상 숏리스트가 필요하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어요.
그래서 숏리스트는 다시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 떄까지 만들지 않을 겁니다.굳이 필요하지는 않지만, 풀리스트에서 가장 스팟라잇을 받는 게 탤리 스피어 – 이씨 페리스 – 핍 블롬의 숏리스트 졸업자 3인방이고, 저 셋이 자리를 내줄 것 같지 않은 상황에서 로런 히버드나 소피와 거인들 등의 성취가 조금 묻히는 감이 있어서 6월 16일자로 숏리스트를 만들어 추가합니다.
다시보니 역시 현재 기준에서 숏리스트는 필요 없는 것 같아요.
다시 없앱니다.
1. TP리스트에 올라가는 모든 음악가 이름은 이 블로그 내의 표기법에 맞춰 한글로 적습니다.
이에 따라 번역할 필요가 있는 밴드명이 번역되지 않고 단순 음차된 한글로 적히거나,
해당 음악가 본인의 발음과는 전혀 관계없는 음가의 한글로 이름이 적힐 수 있습니다.
+ 3월 9일자로 TP2018 역시 한글화 되었습니다.
+ 3월 22일자로 TP2017 역시 한글화 되었습니다.
+ 4월 3일자로 TP2016과 함께 모든 TP 음악가 데이터베이스가 한글화 완료 되었습니다.
++ 일부 음악가들의 앨범 발매 정보는 해당 TP 작성연도 이후의 정보로
업데이트 되어 있습니다.
이는 TP의 데이터베이스 파일이 음악가 정보를 일원화 관리하기 때문에,
이후 TP에 다시 올라가는 음악가는 그 시점의 정보가
기존 TP에도 업데이트 되기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후 TP에 언급되지 않는 음악가는 업데이트가 되지 않기에
대부분의 음악가의 앨범 발매 정보는 여전히 해당 연도 기준입니다.
+++5월 12일 DB 일괄 업데이트로,
모든 음악가의 앨범 발매 정보가 2019년 5월 12일, 혹은 그 이후로 조정되었습니다.
2. 밴드 승계, 리브랜딩에 관한 규정이 주관적으로 바뀝니다.
어떤 이유에서든 밴드의 이름이 바뀌는 경우 혹은,
밴드의 주요 멤버가 기존 밴드를 이름과 함께 버려두고 새로 다른 밴드를 꾸려 나간 경우;
내가 기존 밴드와 다를 게 없다고 생각하면 신인으로 취급하지 않고,
기존 밴드와 별개의 커리어라고 생각하면 신인으로 취급합니다.
이에 따라 밴드 하나가 둘로 분리 되었을 때,
둘 다 기존 밴드로 취급되는 경우도 있을 겁니다.
예를 들어 이브네슨스와 위 아 더 폴른처럼
두 밴드 모두 ‘Fallen 시절의 이브네슨스’의 적통을 주장하는 경우,
두 밴드 다 이브네슨스의 Fallen을 데뷔 앨범으로 취급합니다.
3. TP 평가 기준이 좀 더 유동적으로, 상대적으로, 주관적으로 바뀝니다.
싱글이 내 마음에 들었더라도
이 음악가의 커리어 상 두드러지지 않거나,
특별히 주목할 필요 없이 이미 주목 받고 있거나,
특히 기존 TP나 다른 글에서 충분히 언급을 했다면 TP에 올라가지 않습니다.
4. 목록 순서가 원래 TP의 의도에 더 걸맞게 변경됩니다.
목록의 순서에는 더 이상 각 싱글의 완성도와 음악가의 유명도(무명도?)가
우선 요소로 고려되지 않으며,
그 싱글이 결과적으로 음악가에 대해 어떤 기대치를 남겼는가만을 기준으로 정렬됩니다.
+
기억을 되새겨보니, TP를 처음 만들 때는
정수부 7점 이상의 데뷔 앨범이 있으면 자동 제외 규정도 있었다.
이걸 8점 이상으로 상향 조정했었다, 정수부 8점 이상의 데뷔 앨범이라고 해봐야
사샤 시엠이나 셰이크 셰이크 고 정도에나 적용되는 기준이라서 아예 삭제했었지.
저걸 삭제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특히
이다 외스테르고(the forgotten one)가 성공적으로 복귀했을 때
TP에 올려주지 못하면 안 된다는 것 때문이었는데,
이제는 저런 스크리닝을 제대로 개별 상황에 맞게 할 수 있는 거지.
+
탤리 스피어는 올해 TP 기준에서 가장 크게 감점을 받아야하는 음악가이니
올해 TP 올려주는 건 좀 반칙 느낌이지만…
어쩌겠어. 탤리 스피어인데.
숙제 안 해오던 그 꼬맹이가 저렇게 훌쩍 자랐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