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치노트

Categories 어린 아름다움에 대한 찬가Posted on

1. 캐시 설정을 완료했습니다.
이제 제대로 돌아가는 것 같아요.
(사실 설정을 완료했다기보다는 캐시를 없애 버렸다에 가까워서
이래도 제대로 안 돌아가면 말이 안 돼요.)

2. fake request에 대한 우회 대응을 완료했습니다.
이걸 전부 대응할 수 있게 하려고 했는데,
이게 나한테는 완전히 새로운 분야라 아는 것도 없고,
관련 아티클을 찾아봐도 뭔 소린지 알기 싫고-_-
개발하는 내내 저 캐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문제와 맞물려서
제대로 된 테스트가 이루어지지 못했고,
그나마도 내가 이해한 대로 작동하지 않아서 전부 대응은 불가능했습니다.
(ㅈ같아서 캐시 다 날려 버리고
우회로 하나만 뚫어서 정상 작동 되는 걸 확인하고 대응 했음. 한다는 겁니다.)
따라서 dpi 우회를 위한 fake request을 할 때는,
sequence, ack number을 fake request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다른 설정은 페이지를 제대로 로딩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3. 라잇박스 플러그인을 적용했습니다.
이제는 이미지를 클릭하면 해당 원본 이미지 파일을 표시하는 대신,
확대 된 이미지가 라잇박스로 표시됩니다.
다만 포스트가 아닌 페이지의 경우는
태그 목록등에서는 라잇박스가 정상적으로 출력되지만,
페이지 내에서는 라잇박스를 열지 못하고 원본 이미지 파일을 여는 문제가 있습니다.
고칠 수 있을 것 같은데, 귀찮아요.
어차피 이미지를 클릭해 볼 필요가 있는 페이지는 WfGA 밖에 없으니
그냥 안 고칠래요.
+
생각해보니, 현재 과거 WfGA등을 포스트가 아닌 페이지로 올린 이유는,
퍼머링크 url을 wfga-2022 같은 식으로 의미 있게 유지하기 위해서인데,
앞으로는 포스트로 올려야 할텐데 그럼 퍼머링크가 문제가 돼요.
그래서, 포스트에 커스텀 퍼머링크를 달아줄 수 있도록 조정한 후,
현재 페이지로 되어 있는 프로젝트 페이지들을 포스트로 바꿔줘야 할 것 같네요.
++
커스텀 퍼머링크가 구조가 간단할 줄 알았는데,
플러그인들을 둘러보니 생각보다 구현이 어려운 모양이네요.
플러그인이 지정한 슈도 퍼머링크 주소들을 저장하고 있다
포스트로 연결해주는 방식을 취하는데, 이게 퍼머링크가 달린 포스트 수가 늘어나면
자원 잡아 먹는 게 기하 급수적으로 늘어날 게 뻔하니 좀 마땅치 않았어요.
그래서 대충 억지로 DB구조를 고쳐서
포스트에 슈도 퍼머링크를 달아줄 수 있는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어찌됐든, 필요한 기능은 구현했어요.

캐시 설정이 안정화 되었습니다.

Categories 어린 아름다움에 대한 찬가Posted on

그 동안 페이지를 제대로 로딩하지 못하며 난장질을 쳐대던 캐시 설정을,
수도 없이 바꿔 댄 끝에 어느 정도 안정한 설정을 찾았습니다.
일단은…. 제대로 돌아가는 것처럼 보여요.
+ 로딩 실패 확률이 5% 수준으로 줄어들긴 했지만 제대로 돌아가진 않네요.

물론 아직은 확실하지 않습니다.
기존의 브라우저 캐시 파일을 지우면 더 이상 페이지 로딩 문제는 없어야 정상입니다.
…. 아니더라도 솔직히 뭘 더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어요.
어쨌든, 일단은 얼마나 더 깔끔하게 움직이는지 지켜보고
더 설정을 만져볼지, 아니면 이대로 설정을 완료할지는 다음 주 쯤 결정할 겁니다.

+
서버를 한 번 밀어버리고 처음부터 새로 만드는 걸 워낙 오랜만에 하다 보니
대체 무슨 설정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감이 없다.
기존에는 15년 넘게 최적화 해 놓은 세팅을 그대로 포크해 쓰다보니
세부 설정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도 모르지만 어쨌든 제대로 돌아가는 서버였는데,
지금은 순정 아파치는 설정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내가 지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야하는 설정이 뭔지 하나도 모르겠다보니
뭐 하나 문제가 생기면 해결하는데 시간이 한참 걸린다.
그러니까 예전 서버들은 A를 하기 위해서는 B를 해야하는데,
그러면 C의 문제가 발생하고, C를 해결하기 위해서 D를 해야하고,
D는 내 서버 환경에서 자원을 너무 많이 먹으니까, E, F를 조합해서 시뮬레이팅을 하면
G의 문제가 발생하니까 그건 H를 해서 해결한다. – 이게 15년간 축적된 경험을 통해
누적되어 만들어진 시스템이라서
말짱 날려 먹고 나니 생각 나는 게 하나도 없어.
어… E랑 F를 조합해서 뭔가를 시뮬레이팅 해야 하는데,
그게 뭐였더라? 그걸 왜 했더라? 정도.

패치노트

Categories 이모젠식 정의Posted on

1. TLE가 어린 아름다움에 대한 찬가 카테고리에서 멘델스존의 꿈 카테고리로 이동합니다.
기본적으로 가사에 관한 글은 어린 아름다움에 대한 찬가 카테고리의 주 대상이었기에, 지금껏 TLE를 찬가 카테고리로 올려왔습니다. 하지만 멘델스존의 꿈 카테고리가 아주 오랫동안 개점 휴업 상태에, 원래 해당 카테고리의 기능은 TP와 OQOP, 그리고 컴플먼트 플레이리스트가 나눠 가져 가버렸기에 이 카테고리를 다시 쓸 일이 없을 뿐 아니라, 찬가의 주 대상은 엄밀히 말해서 ‘가사’가 아닌, ‘보격’인만큼, 단순 번역은 굳이 찬가 카테고리에 욱여 넣을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따라서 TLE를 멘델스존의 꿈 카테고리로 옮겨 카테고리를 좀 더 의미 있게 활용할 겁니다.

2. 이에 따라서, LS의 보격과 주석 표기 시스템을 이 블로그로 옮기는 개발 계획이 폐기됩니다.
사실 이걸 급히 하겠다는 생각은 아니었고, 거의 연간 계획으로 잡고 있었기에, 진행은 전혀 안 되고 있었어요. 한데 nothing to see처럼 보격이 중요한 노래도 그냥 포스팅 해 놓고 생각해보니, 이게, 굳이 만들어봐야 LS와 TLE의 구분점이 사라지고, 어느 한쪽은 버려지게 될 거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리고 LS의 보격 표기와 TLE의 자막을 동시에 제작하여 글을 쓰는 것은, 결국 부담을 크게 해서 아예 포스팅을 안 하는 결과가 나올 게 뻔해 보였습니다. 이 때문에 LS와 TLE는 완전히 구분하고, LS에 올린 번역 가사를 가끔 싱크 맞춰서 TLE로 올리는 현재의 시스템을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3. 영향이 Damned Senator로 옮겨져서 복원됩니다.
역시 일기장 필요해요. 영향 카테고리 이름을 Damned Senator에 맞춰서 바꿀까 생각은 해봤지만, 귀찮아서 그냥 그대로 씁니다.

TLE 테스트

Categories 멘델스존의 꿈Posted on

슬슬 TLE도 복구해야할 것 같아서 테스트합니다.
한 가지 기쁜 소식은 LS에 내 번역 가사가 꽤 많이 쌓였기에,
필 받으면 TLE 하나씩 만들어서 올릴 가능성이 높다는 겁니다.
사실 작년에 워낙 날 클릭하는 노래가 많아서
미야 폴릭의 Nothing to See나 제마 로렌스의 Watchdog처럼
LS에 올릴 때 TLE도 만들고 싶었던 가사가 꽤 있는데,
그 땐 서버가 죽어 있어서 못했거든요.


+
기존 서버에서 쓰던 소스는 charset이나 폰트 관련해서
이것저것 수정하고 안정화한 소스였는데,
이번에는 그거 수정할 엄두가 안 난다.
그냥 원본 소스 그대로 쓸래.

개발 상황

Categories 어린 아름다움에 대한 찬가Posted on

a. 사이드바 기본 메뉴 설정 (진행중)

1. 페이지 카테고리, 태그 적용done with a plugin

2. 기존 tp, wfga, atof 페이지로 옮기기 (진행중)

3. 다중 태그 선별이거 워드프레스 기본 기능에 있었네?

4. 메뉴 확장 정보 고정 (고려중)



b. 보안 설정

1. recaptcha 적용done with a plugin

2. 상위 권한 해머링 IP 차단done

3. 로그인 페이지 주소 변경done with a plugin

메뉴 접힘/펼침 유지를 해야 하나?

Categories 이모젠식 정의Posted on

페이지를 바꿔도 메뉴 접힘/펼침을 유지하게 할 필요가 있을까?
그러니까, 저게… 자바 스크립트 써야하는데
자바 스크립트로 페이지 넘길 때 변수 유지를 시키면
빌어먹을 에러가 쏟아져 나올 거란 말이지?
보나마나 어떤 환경에선 유지 되고 어떤 환경에선 안 되고 개지랄이 날텐데…
그거 하나하나 잡으면서 테스트할 열의도 여력도 없어.

음….

모르겠다.
그 개지랄이 나는 것보다는 아예 유지 안 하는 게 낫겠지?

+
생각해보니 이건 메뉴 대부분이 유튜브 플레이리스트 링크로 되어 있는
지금 상황에서만 필요해 보이는 거고,
앞으로 태그 페이지와 작성 페이지로 지정이 되면 딱히 의미가 없어질 거다.
내버려둬도 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