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ovocation, the pretence, the denial and the invention은
2022년의 마지막 컴플르먼트 세트입니다.
the Complement of 2022 dc: the provocation
the Complement of 2022 dg: the pretence
the Complement of 2022 dh: the denial
the Complement of 2022 de: the invention
the provocation, the pretence, the denial and the invention은
2022년의 마지막 컴플르먼트 세트입니다.
the Complement of 2022 dc: the provocation
the Complement of 2022 dg: the pretence
the Complement of 2022 dh: the denial
the Complement of 2022 de: the invention
TP는 한해 동안 내 마음에 드는 싱글을 내놓은 유망주들을 정리하는 연간 스레드입니다.
+
대체 언젯적 피비 스타야? 이 아가씨 아직도 데뷔 앨범도 안 냈다고? 테뉴어 발급 신청서야 뭐야?
…라고 생각하면서 저 노래를 걸었고, 곧 내가 애초에 이 아가씨를 핀업한 이유를 절감했다.
테뉴어요? 저런 노래를 만들어오는데 앨범을 내든 안 내든 테뉴어가 나올 리가 있겠나요.
+
아뤼, 피비 스타, 케일리 모어그…
이 뭐… 2021년 테뉴어 발급 대기자 트리니티입니까?
진짜 뭐지?
작년 초만 해도 어우 이제는 종신잉여년 딱지 하나씩 붙여야겠다 했던 애들이…
++
생각해보면 베이커 그레이스도 딱히 대놓고 삽을 안 떠서 그렇지 이대로 계속 갔으면 테뉴어 발급 대기자 목록*에 올라갔을 거고…
* 내가 하도 이것저것 목록을 유지하다보니 이런식으로 말하면 착각하는데, 이건 실재하는 목록 아닙니다-_-
+
확실히 요즘 TP가 재미없었던 게,
다 거기서 거기 똑같은 얼굴이나 그 릴레이티드 애들 뿐이었는데,
밋찌한테 일곱명 수혈 받아 왔더니 리스트가 확 예뻐졌다.
어차피 요즘 숙제 해도 건지는 거 없다고
밋찌 풀에서 50명 박박 긁어내 고작 일곱명 건졌을 때는
내가 너무 과했나 싶었는데…
저 일곱명이 이렇게 리스트 예쁘게 만들어주는 거 보면 앞으로도 종종 긁어내야겠다.
++
카모디 저 개잉여년이 저렇게 업그레이드 돼서 온 건 진짜 신기하긴 하다.
+
안 그래도 밋찌 풀이 풀이라서 포크 위주로 많이 땡겨 오기도 했는데
거기다 로지 카니, 제마 로렌스, 미아 베륵 풀 포텐 터뜨리고
제시 리드 리지 리드가 한 트랙 씩 양념 쳐주니까
뭔가 포크팝으로 도배 된 느낌이다.
이게 그 주 장르가 포크가 아닌 애들도…
아뤼도 오랜만의 비사팝 트랙이고,
피비 스타도 앨범 안에서 제일 포키한 트랙이고,
미야 폴릭도 포크 락 트랙이고,
테닐 타운스도 컨트리 색 빼니까 좀 소울/포크/블루스의 루트 색이 살짝 비치는 느낌이고,
아니 심지어 스콧도 맨날 스탠더드 팝으로 밀어붙이다 꽤 비사 냄새 나는 트랙을 내놓은 거였네?
어릴때도 안티포크고,
그렇네.
그냥 탑 텐이 피에 빼고 전부 포크 + 포크 기반이니까
이렇게 묵은내가 진동하는 거였군.
확실히 이런 일이 별로 없었던 게,
TP는 워낙 미쳐날뛰는 얼터너티브 트랙과
꼬맹이들 예쁘게 뽑은 팝 트랙에 주목해주던 리스트였는데,
올해는 굳이 밋찌한테 뜯어온 애들 언급하지 않더라도 (거의 중위에 있으니)
확실히 포크 트랙들이 풀도 넓고 완성도도 높아.
++
그러고보면
로지 카니, 제마 로렌스, 미아 베륵, 브라이드, 카모디, 피비 스타가
갑자기 없던 풀 포텐 만들어서 터뜨렸는데…
(브라이드 정도는 있던 포텐이고, 다 터뜨리지도 못하긴 했다.)
이게 이 정도로 한 장르에서 펑펑 터지는 건
무슨 이유가 있긴 있을 텐데,
뭔지 모르겠다.
엔테나 캐런한테 뭔가 털어보면 나올 것 같긴 한데,
엔테 요즘 뭐하지?
TP는 한해 동안 내 마음에 드는 싱글을 내놓은 유망주들을 정리하는 연간 스레드입니다.
+
도디랑 올라 가틀란드는 하 진짜 몇년째 유망주를 해먹으려는 건지,
이 잉여년들을 어째야 쓰까 싶지만….
결국 꼬박꼬박 내놓는 노래들이 유망주 레벨에선 눈에 띄는 것도 사실이고,
둘 다 워낙 어릴 때 활동을 시작해서 아직도 스물다섯 밖에들 안 됐어-_-
그리고 결국 그 많던 유튜브 커버 가수들 중 제대로 살아남은 거 저 둘 밖에 없기도 하고.
둘 다 커버할땐 개 잉여년이었는데 결국 자기 작곡 능력으로 살아남기도 했고….
++
결국 둘 다 데뷔 앨범을 내놓았는데…
올라 가틀란드는 자기 능력을 증명하는데 성공했고,
도디는 실패했다.
물론 올라 가틀란드는 애초에 2012년, 2015년 EP가 급이 다르긴 했지.
도디가 5년간 싱글 두세 개를 잘 뽑는 동안,
올라 가틀란드는 10년간 EP 두 장을 잘 뽑았어.
근래에 올라 가틀란드가 삽을 많이 떠서 평가가 너무 흐릿해져 있었던 거지,
처음부터 도디랑 같은 열에 세울 아이가 아니었네.
+
사미 그랑프리 – 뷔 라름 출신인 엘라 마리가
사미 토양으로부터 이탈 하는 걸 꽤나 오랫동안 걱정했는데,
이걸 제대로 표현하지는 못해왔었다.
아키가 개판 치고 접은 이후로 엘라 마리는 현재 공석인 내 사미 토큰-_-의 강력한 후보였고,
그래서 저 걱정을 뱉어놓으면,
‘아니 넌 남아서 내 인종/문화권 배분 토큰 노릇 해줘야지.’ 같은 말이 돼버리니 말이다.
간혹 사미 토양 버리고 이딴 의미 없는 거나 해야겠어? 정도의 말은 해왔고,
워낙 커다란 걱정이었으니 종종 새어 나오기도 했지만,
(몇번인가 나도 모르게 썼다 지운 기억이 있다.)
정말로 가슴속에 담긴 불안은 제대로 못 꺼내놓았지.
올초에 내놓은 소포모어 앨범이 사미 자산과 컨템포러리 실험을 정말 잘 조화시켜서 다행이다.
+
이제 하이틴에 접어드는 그레이스 밴더월이 ‘아빠 저 잘했죠?’로 대변되는
멍청한 스타일을 탈피한 건 마음에 든다.
왠지 이 꼬맹이는 그래도 2002년생쯤은 된 것 같아서 너무 늦은 거 아닌가 싶었는데,
이제 열일곱되는 열여섯이면 적당한 정서적 성장곡선을 그리고 있는 거네, 뭐.
+
힐다 스코르는 올해의 8트랙 30분 앨범은 물론
작년의 8트랙 + 2인터미션 트랙 25분 앨범도 EP로 취급한다는 걸 확인하고 좀 어이가…
저기요?
EP로 취급하고 싶으면
8트랙 앨범에 인터미션 두 개 넣어서 10트랙 꽉꽉 채우는 짓은 하지 말라고요!
5트랙에 인터미션 다섯 개 넣는 개짓거리는 개짓거리여도 EP인가보다 하지,
세상 누가 8트랙 앨범을 10트랙으로 만들어 내놓은 걸 보며
아무리 25분만 딱 채웠다고 해서 그걸 EP라고 생각해?
+
슬슬 문제가 되는 게,
TP 목록에 올라갈 때는 경력 세탁을 해서 과거 앨범에 대한 접근을 막아뒀다가,
앨범 내놓고 신인으로 얻을 수 있는 이득이 사라지자 과거 앨범을 다시 공개하는 애들이다.
이런 애들이 있을 거란 거 예상 못한 건 아니지만,
이러는 걸 발견할 때마다 예상한 거 이상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서…
그냥 스트리밍 공개 앨범을 기준으로 데뷔/소포모어를 규정하는 건
아예 포기해야할까 생각중이다.
저건 물론 내가 중간중간 정보 확인을 쉽게 하기 위해서 만든 기준이지만,
좀 더 번거로운 쪽이 이런 거에 하나하나 실망하고 스트레스 받는 것보단 나은 것 같아.
++
이게 참 뭐랄까, 인간적인 실망이 크다.
경력 세탁은 이해할 수 있다. 자기 안 팔린 전작이 앞으로도 커리어에 발목을 잡을 상황에서
그걸 비공개하고 신인인양 하는 거야, 오래 고민하고 자존심을 꺾는 결정을 하는 거다.
그런데 그렇게 꺾인 자존심에 부목을 이어 붙이고는 아무일도 없었던 양 하는 건,
그건 자존심을 꺾는 수준이 아니라 아예 말살을 하는 수준이지.
아니, 애초에 자존심이라고 부를만한 게 없어야 가능한 짓이지.
+
MNDR이 올해 내놓은 게 소포모어 앨범이었어?
……..
7집 가수 아니고?
-_-
아니 2012년 데뷔면 정상적인 3년 간격이라도 4집이어야 하고,
MNDR은 해마다 활동을 꾸준히 하지 않았나?
진짜 2년에 앨범 하나씩 내놓은 것 같은 느낌인데…
-_-;;;
+
엘리엇 리가 pink(freak)으로 확 떴을 때는 그 가장된 불안정함이
내 판정유예 회로를 건드려서 몇번 더 지켜보자는 결론을 내렸는데,
정작 저렇게 자연스럽게 안정된 노래를 하니 대중 반응도 가라앉는 건 뭐랄까….
+
이번에 틱토커들을 대거(?) 목록에 올리면서 느낀게…
확실히 순도가 낮긴 낮다는 거다.
리지 믹알파인 때문에 문호개방-_-을 하긴 했는데,
기껏해야 두섯 건지자고 저거 다 훑어 보는 건 도저히 못하겠어.
유튜브 커버 가수들은 어쨌거나 음색에 경쟁력이 있었는데,
이 아이들은… 가끔 멜로디에 경쟁력이 있는 애들도 있긴하지만
그걸 두 소절까지 늘리는 걸 못한다.
+
메이지 피터스는 싱글 퀄리티 이상으로 순위를 상향조정할 필요가 있어보인다.
정석적인 보컬도 아닌 일개 보컬릿이,
이렇게 다채로운 접근으로 자기 단점을 씹어먹고 장점을 확고하게 어필하는데,
이게 이 정도 케이스가 쌓였으면 이젠 믿어줘야지.휴가 끝나고 복귀하면 바로 조정해야겠다.조정 완료…하긴 했는데,
그동안 내놓은 데뷔 앨범이 6포인터로 꼬라박아서 뭐랄까 좀 의아한 조정이 되긴 했네.
TP는 한해 동안 내 마음에 드는 싱글을 내놓은 유망주들을 정리하는 연간 스레드입니다.
+
이제 슬슬 6월인데, 아직까지도 상위에 올해 마무리 작업을 한 듯한 노래가 눈에 띄게 적다.
아무리 자가 녹음과 마스터링이 간단해졌다고 해도, 결국 그걸 스스로 할 수 있는 게 아니라면…
신인급 인디 가수는 격리로 인한 타격을 직접적으로 받을 수밖에 없겠지.
+
힐다 스코르가 모노님으로 활동을 시작한 덕에 이걸 전혀 모르고 있었다.
심지어 지난 주에 데뷔 앨범을 내놓기까지…
인터미어가 뷔: 라름인지 동키보이인지 좀 헷갈리긴 한데… 일단은 동키보이로 해둬야지.
+
북유럽 경기침체 이후로 노르웨이 신인들이 확실히 뜸했는데,
올해는 뭔가 눈에 띄게 다시 올라와서 점검해보니, 참 뭐랄까.
힐다 스코르고, 헤다 매고, 을리카 브란스투룹이고…
전부 스탠다드 팝이라는 거지.
물론 저 셋의 결과물에 대해 불평하는 건 아냐. 잘 뽑았어.
그런데 그게 ‘더 이상 노르웨이 꼬꼬마들이 꼴리는대로 만들 수 없기에’ 잘 뽑혔다는 게,
노르웨이의 시장 환경이 무너지는 와중에 마지막으로 붙든 균형이라는 게 안타깝다는 거지.
TP는 한해 동안 내 마음에 드는 싱글을 내놓은 유망주들을 정리하는 연간 스레드입니다.
아래의 숏리스트는 이 리스트가 너무 길어지면서 무의미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좀 더 좀 더 까다로운 기준으로 걸러낸 14트랙 플레이리스트입니다
+
2019년 5월 7일자로 TP2019의 기준을 소급하여 풀리스트에서 50여곡을 삭제했습니다.
이 TP 기준 변경은
TP2018에 기존에 충분히 강조되어 온 음악가들이 너무 많아서 행해진 것이기에,
여기에는 소급 적용하는 것이 옳은 것 같네요.
전체 목록
+
우즈 노래는 처음 들었을 때 별로 마음에 안 들었었는데,
그 이야기를 하니까 K가 “엠마 루이스가 저 노래를 내놨다고 생각해봐” 한 마디 해줬다.
하…. ㅅㅂ.
하이고 이 엠마 이 잉여년아 어쩌자고…. 하……
응. 엠마 루이스가 저 노래를 내놨다면 진짜 물고 빨고 난리도 아니었겠지.
하이고… 진짜 그 스탯 가지고 어쩌자고………….
+
이나 브롤센은 TP를 처음 시작한 2016년의 유머포인트였다.
이나 브롤센이 ‘유망주’라는 게.
그런데 올해까지 올라오냐-_-
장난 하는 것도 아니고 앨범 안 내냐 진짜-_-;;;;;
+
에이시스의 Waiting for You를 처음 숏리스트에 올릴 때는,
얼마 안 가서 내려가겠지. 했었다.
그런데 한 달 쯤 지나면서 보니,
이것만한 아우트로가 올해 안에 나올 것 같지가 않다.
++
오랜만에 보니 웨이팅 포 유가 내려가긴 내려갔는데…
그 결과로 숏리스트가 몇 달 째 14번이 없는 상태다-_-;;;
로바 알빌데가 14번 서야하는 플레이리스트라니;;
+
라라 기어의 무명 보정 포인트는 너무 쎄다;;
다시 계산해보니까 첫자리부터 열네번째까지 전부 숏리스트 대상이어도,
라라 기어가 53위 밖으로 밀려야 열네번째 노래가 라라 기어를 자르고 들어갈 수 있는데…
현실적으로 저게 28번째 정도에 걸릴 것을 생각해보면…
라라 기어는 80위 정도로 밀려도 여전히 숏리스트에 이름을 올릴 거란 말이지.
결론은 무명 보정 포인트 계산식을 좀 손봐야겠다는 건데…
이게 라라 기어가 진짜 0에 가까운 무명이라서 무한대 수준의 포인트를 뽑아 버린 게 문제지,
실제로 라라 기어 외에 이 정도 보정 포인트를 받아갈 사람은 또 없을 거고…
계산식 어떻게 만져야할지 얼른 감이 안 잡힌다.
그렇다고 당장 고치기에는 현재의 계산식은 라라 기어 말고는 문제를 일으킨 적이 없단 말이지.
라라 기어 경우에 저렇게 포인트가 미친듯이 불어나버린 가장 큰 원인은
유튜브 채널 구독수 58, 스포티파이 평균 월간 청취 36 때문인데…
구독자나 청취자 수가 아무리 적어도 어느 정도 이하로는 안 떨어지게
최소값 캡을 적용하면… 아니, 아니다.
라라 기어가 이렇게 된 건, 이 아이가 올해 초에 싱글 하나 툭 던지고
다른 활동을 하나도 안 해서잖아.
꾸준히 싱글 내놨으면, 월간 청취가 2~300 선은 됐겠지.
현재까지 내놓은 싱글 수와 당해 분기별로 내놓은 싱글에 맞춰서
누적 수치를 보정해야겠네…
……….
개 귀찮은데-_-?
…………………..
아니 이런 케이스는 앞으로도 10년에 하나쯤 나올 거 같은데-_-
…………….
해야 돼?
………………
그거 해 봐야 별반 차이도 없을 건데?
++
그래, 무명 보정 해줘야지! 라라 기어 정도 무명이면 이 정도 무명 보정 받아야지!
맞잖아. 저게 라라 기어가 아니라 피에였어 봐라.
피에가 저 정도 인지 안 되고 묻혀서 미친 보정 포인트 받고 숏리스트에 있다고 생각해봐.
그럼 그 보정 포인트 당연하고 공정한 거라고 했을 거잖아.
저게 “숏리스트 보장 티켓”을 받기엔 내가 딱히 아끼는 부분이 없는 라라 기어니까 문제인 거잖아.
문제는, 라라 기어의 무명 보정이 이렇게 커져버린 건,
이 아이가 이 노래를 두고 포기해버렸기 때문이라는 거지.
하나, 라라 기어와 똑같은 스탯이라도 1월에 노래를 내놓은 것과,
11월에 노래를 내놓은 게 스포티파이 평균 청취지수가 다를 거라는 거다.
라라 기어는 128 64 32 16 14 12 …. 이런 식으로 가서 평균 36까지 떨어진 건데,
11월에 내놨으면 128 64로 평균 96을 찍을거라는 거지.
또한 비슷한 영역으로,
현재의 무명 보정 포인트에는, 연초에 활동을 하고 반응이 없어서 포기해 버린 가수가,
반응이 없음에도 고집있게 꾸준히 활동을 한 가수보다 더 높은 점수를 받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일단 스포티파이 청취 평균은,
싱글을 하나라도 내놓은 분기의 달만 평균을 내는 정도로 조정해야겠다.
이렇게 조정하면 라라 기어의 숏리스트 보장 하한은 53위가 아니라 38위가 되고,
28번 기준 숏리스트 보장선은 80수준이 아니라 58위가 된다.
연말에 가면 58위쯤에 걸쳐 있을 노래가
노아 사이러스의 We Are, AVEC의 Under Water, 에이시스의 Waiting for You인데,
응. 이 정도 선이면 딱 무명보정으로 숏리스트 들어가는 거 용납되는 노래들이지.
그래, 이게 괜찮은 교정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