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의 두번째 컴플르먼트 플레이리스트 세트입니다
the Complement of 2024 BB
the Complement of 2024 BC
the Complement of 2024 BD
2024년의 두번째 컴플르먼트 플레이리스트 세트입니다
the Complement of 2024 BB
the Complement of 2024 BC
the Complement of 2024 BD
TP는 한해 동안 내 마음에 드는 싱글을 내놓은 유망주들을 정리하는 연간 스레드입니다.
+
Brao가 이탈리아 어름의 남유럽계 성이 아니라 아일랜드계 성이었다고?
당연히 남유럽계라고 생각하고 [브라오]로 읽었는데,
게일어 [브라우]였다고?
…..
어우….
이건 좀 아프네.
그러게,
게일어라고 생각하고 보면 게일어 단어인데….
보스턴 출신의 녹회색 눈 달린,
약한 붉은기 도는 연갈색 머리에
주근깨 많은 회백색 피부를 한 아이 이름이면….
아일랜드계라는 걸 당연히 생각했어야 했던 거 같긴 한데….
++
생각해보니 이게 이름이 딜라일라인 게 큰 것 같다.
딜라일라는 워낙에 그 이름 주인인 들릴라가 성서 상의 악녀인 탓에
근대 영미에서부터 쓰인 영미계 이름이지만
어감이 그냥 남유럽계 느낌이 강해.
++
딜라일라 브라우가 생각한 것보다 나이가 꽤 있는 편이네,
2020년 8월 인터뷰에 ‘I am a senior this year’이라고 했는데,
그럼 9월에 4년차 된다는 얘길테니까
(이게 다른 년차면 올해 n년차였다는 거야, 올해 n년차 된다는 거야?
싶어서 애매했을텐데… 8월에 4년차는,
졸업했는데 I am a senior 이 지랄 하진 않았을 거잖아.
찾아보니 심지어 버클리는 4년차 여름학기가 없어서 5월 졸업 학제네.)
2020년 9월 기준 21세라는 거고,
그럼 2/3 확률로 1999년생일테니
1999년생으로 추정하는 게 맞겠지.
저 인터뷰에서 자기가 얼마나 버클리에 들어가길 원해왔는지는 얘기하는데,
들어오는데 뭔가 문제가 있었다는 얘기는 없으니
뭐 안식년 같은 건 없었을 거 같고….
+
Iris Jean이 아이리스 진이 아니었다고?
어…. 네덜란드 인이셔?
그럼 이리스 쟝이야?
아니 이게 뭐랄까.
너무 이미지가 흔들리는데?
아, oqop 하기 전에 tp 대기열 정리부터 했어야 했는데
tp 대기열 정리를 빨리 빨리 안 해 놓으니까…
이렇게 국적도 모르고 부르던 이름이 입에 붙어 버리잖아.
아… 근데 또 미국에서 활동하는데
그냥 아이리스 진으로 활동 안 할 보장이 없다는 게 문제네.
인터뷰 자료도 하나도 없어.
아니 노래 저렇게 잘 뽑았으면 인터뷰 요청도 미친듯이 들어왔을텐데
다 거절한 거야?
이거 어떻게 해야하지?
일단 이리스 쟝으로 고치고,
미국에서 아이리스 진으로 활동한다는 게 확인 되는 경우에만
아이리스 진으로 도로 고쳐야겠지?
근데 이리스 쟝은 진짜 너무….
너무 안 어울려.
저 생긴 거에, 노래 스타일에,
아이리스 진이 완전 딱인데.
+
BOVIY의 이 블로그 내 공식 표기는
‘예전에 예전에 비비 안이라 불렸던 보위라 불렸던 봅이’이며,
이 표기는 어떤 이유에서도 단 한 글자도 줄여 쓰지 않음을 원칙으로 합니다.
TP는 음악가 이름과 상세 정보가 한 줄을 넘지 않도록 조정하는 것이 기본이지만,
저 원칙에 따라서 예전에 예전에 비비 안이라 불렸던 보위라 불렸던 봅이에 한 해
두 줄을 사용합니다.
+
이게 정리를 한 달에 한 번씩 하다보니까,
특히 앨범 싱글들이 제깍제깍 올라가지 않고
앨범 나온 뒤까지 웨이틀리스트에 대기하고 있는 일이 생기는데,
이게 여러모로 마땅치 않다.
당장 앨범 나올 때까지는 뭐 하고 있는지 신경도 안 쓰느라 몰랐던 올라 가틀란드는
앨범에서 높이 평가 받아서 TP 상위로 올라가는데,
앨범 박은 애니 해밀턴은 ‘앨범 잘 뽑을 기대치를 고려하여’ TP 상위로 올라가는 게 뭔가…
뭐랄까…
좀 적당치 않다.
문제는 저 애니 해밀턴 앨범 싱글을 들었을 떄,
난 이번 앨범을 엄청나게 기대했단 말이지.
그 때 TP를 업데잇 했다면, 당연히 그 기대가 반영 됐을 거야.
반면 올라 가틀란드 싱글 같은 경우,
정작 싱글이 나왔을 때는 제대로 들어주지 않았지만,
결국 그 때도 제대로 들었다면 TP 상위로 올라왔겠지.
그런데 이렇게 ‘싱글이 나온 시점에 내가 그걸 제대로 들었다면’이란
가정하에 평가한다는 게,
뭐… 사실 불가능한 거잖아?
올라 가틀란드 정도로 체급이 높으면 뭐 나름 괜찮아.
하지만 애매한 체급 애들은…
아 그렇지, 당장 아래 도라 자 있네.
도라 자가 데뷔 앨범을 저렇게 뽑아오지 않았다면,
내가 저 싱글 주목했을까?
저기 가치가 있다고 생각했을까?
그런데 도라 자 같은 경우에도,
내가 저 싱글을 듣고 기대를 높일 수가 없는 게,
이 아이는 아직 자기 세계를 제대로 보여준 적이 없었단 말이야.
그래서 앨범이 나온 뒤, 저 싱글이 저 아이의 세계관에 비춰 무슨 의미인지 알려진 다음에
저 싱글에 걸린 기대치가 너무 달라진단 말이지.
tp에 그걸 고려 안 할 수는 없어.
그리고 그게 제대로 들었다면….의 조건이 된다면,
애니 해밀턴 앨범이 박을 거라는 걸 감안하고 평가하는 것 역시
제대로 들었다면….의 조건에 맞는 거 아냐?
음. 생각해보면, tp는 근본적으로,
낙관적인 상상이 기반이 되어야 하는 프로젝트이긴 해.
그러니까 저 모순되는 이유로 양쪽 다 상위로 올리는 게 이상하지는 않겠네.
one quarter, one playlist은 각 사분기의
뮤직비디오와 리릭비디오 등을 정리하는 연재물입니다.
이번 2사분기는 작황도 그리 좋지 않고 8, 9, 12번에 적당한 노래로 치중된 스타일 덕에
상당히 제한된 풀에서 OQOP를 만들어야 했어요.
하지만 처음부터 자리가 정해진, 꼭 들어가야 하는 트랙들이 많아서
정작 플레이리스트를 만드는데는 크게 신경 쓸 일 없이 쉽게 완성 됐네요.
.. oqtp가 없는 대신 honorable mentions이 좀 많아요.
지아 포드의 Loveshot은 8번 확정곡이었지만,
아우트로의 삽입음이 감당이 안 돼서 빠졌어요.
샬럿 데이 윌슨의 캐노피는 8, 9번 다 자리가 마땅치 않은 판에
아우트로도 길게 붙어서 빠졌어요.
다넬리야의 It’s Only Pain은 강력한 12번 후보였지만
안 그래도 넘치는 12번 후보 중에 가장 음압이 낮은 문제가 발목을 잡았어요.
11번의 파울라 달라 코르타나 13번의 한해하고도가 모두
클라이막스 음압이 특히 높은 편이라
이 문제가 더 도드라지기도 했고요.
안드레아 본 캄펜의 Such Love Does와 린지 로미스의 sick은
강력한 10번 주포, 4, 5, 12번 후보였지만
8번에서 ‘3, 4, 10번도 할 수 있어서’ 밀린 새러 크레인이 10번을 차지하면서
자리가 사라졌어요.
폰드는 원래 9번 확정에 가까웠지만,
폰드가 내 마음에 드는 싱글 내놨다 -> 그 분기 OQOP 9번은 폰드 차지가
뭔가 너무 매크로스러워서 뺐어요.
추천 목록에서 몇 번 봤지만
뭐랄까 아직 완성이 덜 된 것 같아서 마커는 안 찍지만
히스토리도 지우지 않고 한 발 너머에서 지켜보던 밴드인데,
이 지난주 나온 신곡이 재밌네?
사실 모르겠어.
이게 얼마나 성취를 해낸 건지도 안 보이고,
어디로 갈지는 정말 감도 안 잡히는데,
일단 그냥 재밌잖아.
저 신스 쓰는 방식이랑 보컬이랑 조화시키는 것도…
그러게, 이 전에 내놓은 노래들은 보컬이 따로 놀았어.
그러니까 곡에 맞춰서 보컬을 톤 다운 했는데,
오히려 안 어울리고 겉돌았지.
그치, 보컬이 위에서 반쯤 풀려서 움직이니까
저 신스가 사는 거구나.
이거 보컬 목줄 단단히 잡고 신스랑 같은 수위로 끌어내렸으면
저 신스 개 재미없고 지루했겠지.
그렇다면, 앞으로 이 아이들?
나이 좀 있어 보이긴 하는데…. 모르겠다.
여튼, 이 밴드가 어디로 갈지 보는 주안점은
저 보컬 목줄을 얼마나 풀어줄건가,
어디서 균형을 찾을 건가….가 되겠네.
그나저나…. 스위스…. 밴드인가?
그럼 저 jahrund은…..
jahr und일 거고,
이건 jahr und tag에서 tag이 생략된 표현이라고 봐야겠지?
음… 직역하면 한 해 하고도 하루지만,
저게 ‘1년 넘는’이란 관용어로 쓰이는 걸 고려하면….
‘한해하고도’와 ‘한해넘어’ 정도가 번역안인데…
음… ‘해를넘겨’가 더 낫나?
아니야, tag이 생략됐으니까, 넘기면 안 돼.
저쪽으로 가더라도 ‘해를넘어’여야 해.
아니 근데 한국어 해를 넘어는 1년을 넘는 게 아니라
당해 말 일을 넘는 거잖아?
한 해로 가야 돼. 해는 안 돼.
그렇게 생각해보니 ‘한해하고도’가 더 정석적인 한국어 표현이네.
‘한해넘어’는 좀 이상한 표현이야.
한국어에서 넘다는 기한을 넘는 거지, 기간을 넘는 건 적절하지 않아.
좀 더 정확히는 ‘넘길’ 수는 있는데, ‘넘을’,
좀 더 정확히는 ‘넘고 있을’ 수는 없는 것 같아.
‘한해하고도’로 번역하는 게 맞겠네.
+
그러니까 한국어에서 ‘기간을 넘다’는 표현은,
기본적으로 기간을 넘는 게 아니라, 기간의 끝에 있는 기한을 넘는다는 표현이다.
“우리 할아버지는 90년을 넘게 사셨어.”에서
넘다는 90년을 통째로 뛰어 넘은 게 아니라
90년째에 있는 벽을 넘는 이미지란 거지.
여러 용례를 점검해보니까
“나는 이 책을 3년 넘게 기다렸어.” 같은 표현이 걸리적거리는데,
저건 기본적으로 게으르게 의미가 확장된 표현이고,
사실은 ‘넘은’ 주체가 없는 표현이다.
대체 3년을 ‘넘은’ 주체가 뭐냐고?
나는 아니야, 그럼 ‘내가 기다린 시간’이 되어야 하는데,
시간이 기간을 넘는다는 것은 말이 안 돼.
그리고 그 주체가 없는 표현에서조차,
‘넘은’ 행위는 그 3년째가 되는 순간에 이루어져.
그러니까 이를테면 혜시의 언어관에선 이건 잘못된 표현인 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