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MiaGladstone
top prospects 2022
TP는 한해 동안 내 마음에 드는 싱글을 내놓은 유망주들을 정리하는 연간 스레드입니다.
+
대체 언젯적 피비 스타야? 이 아가씨 아직도 데뷔 앨범도 안 냈다고? 테뉴어 발급 신청서야 뭐야?
…라고 생각하면서 저 노래를 걸었고, 곧 내가 애초에 이 아가씨를 핀업한 이유를 절감했다.
테뉴어요? 저런 노래를 만들어오는데 앨범을 내든 안 내든 테뉴어가 나올 리가 있겠나요.
+
아뤼, 피비 스타, 케일리 모어그…
이 뭐… 2021년 테뉴어 발급 대기자 트리니티입니까?
진짜 뭐지?
작년 초만 해도 어우 이제는 종신잉여년 딱지 하나씩 붙여야겠다 했던 애들이…
++
생각해보면 베이커 그레이스도 딱히 대놓고 삽을 안 떠서 그렇지 이대로 계속 갔으면 테뉴어 발급 대기자 목록*에 올라갔을 거고…
* 내가 하도 이것저것 목록을 유지하다보니 이런식으로 말하면 착각하는데, 이건 실재하는 목록 아닙니다-_-
+
확실히 요즘 TP가 재미없었던 게,
다 거기서 거기 똑같은 얼굴이나 그 릴레이티드 애들 뿐이었는데,
밋찌한테 일곱명 수혈 받아 왔더니 리스트가 확 예뻐졌다.
어차피 요즘 숙제 해도 건지는 거 없다고
밋찌 풀에서 50명 박박 긁어내 고작 일곱명 건졌을 때는
내가 너무 과했나 싶었는데…
저 일곱명이 이렇게 리스트 예쁘게 만들어주는 거 보면 앞으로도 종종 긁어내야겠다.
++
카모디 저 개잉여년이 저렇게 업그레이드 돼서 온 건 진짜 신기하긴 하다.
+
안 그래도 밋찌 풀이 풀이라서 포크 위주로 많이 땡겨 오기도 했는데
거기다 로지 카니, 제마 로렌스, 미아 베륵 풀 포텐 터뜨리고
제시 리드 리지 리드가 한 트랙 씩 양념 쳐주니까
뭔가 포크팝으로 도배 된 느낌이다.
이게 그 주 장르가 포크가 아닌 애들도…
아뤼도 오랜만의 비사팝 트랙이고,
피비 스타도 앨범 안에서 제일 포키한 트랙이고,
미야 폴릭도 포크 락 트랙이고,
테닐 타운스도 컨트리 색 빼니까 좀 소울/포크/블루스의 루트 색이 살짝 비치는 느낌이고,
아니 심지어 스콧도 맨날 스탠더드 팝으로 밀어붙이다 꽤 비사 냄새 나는 트랙을 내놓은 거였네?
어릴때도 안티포크고,
그렇네.
그냥 탑 텐이 피에 빼고 전부 포크 + 포크 기반이니까
이렇게 묵은내가 진동하는 거였군.
확실히 이런 일이 별로 없었던 게,
TP는 워낙 미쳐날뛰는 얼터너티브 트랙과
꼬맹이들 예쁘게 뽑은 팝 트랙에 주목해주던 리스트였는데,
올해는 굳이 밋찌한테 뜯어온 애들 언급하지 않더라도 (거의 중위에 있으니)
확실히 포크 트랙들이 풀도 넓고 완성도도 높아.
++
그러고보면
로지 카니, 제마 로렌스, 미아 베륵, 브라이드, 카모디, 피비 스타가
갑자기 없던 풀 포텐 만들어서 터뜨렸는데…
(브라이드 정도는 있던 포텐이고, 다 터뜨리지도 못하긴 했다.)
이게 이 정도로 한 장르에서 펑펑 터지는 건
무슨 이유가 있긴 있을 텐데,
뭔지 모르겠다.
엔테나 캐런한테 뭔가 털어보면 나올 것 같긴 한데,
엔테 요즘 뭐하지?
top prospects 2021
TP는 한해 동안 내 마음에 드는 싱글을 내놓은 유망주들을 정리하는 연간 스레드입니다.
+
도디랑 올라 가틀란드는 하 진짜 몇년째 유망주를 해먹으려는 건지,
이 잉여년들을 어째야 쓰까 싶지만….
결국 꼬박꼬박 내놓는 노래들이 유망주 레벨에선 눈에 띄는 것도 사실이고,
둘 다 워낙 어릴 때 활동을 시작해서 아직도 스물다섯 밖에들 안 됐어-_-
그리고 결국 그 많던 유튜브 커버 가수들 중 제대로 살아남은 거 저 둘 밖에 없기도 하고.
둘 다 커버할땐 개 잉여년이었는데 결국 자기 작곡 능력으로 살아남기도 했고….
++
결국 둘 다 데뷔 앨범을 내놓았는데…
올라 가틀란드는 자기 능력을 증명하는데 성공했고,
도디는 실패했다.
물론 올라 가틀란드는 애초에 2012년, 2015년 EP가 급이 다르긴 했지.
도디가 5년간 싱글 두세 개를 잘 뽑는 동안,
올라 가틀란드는 10년간 EP 두 장을 잘 뽑았어.
근래에 올라 가틀란드가 삽을 많이 떠서 평가가 너무 흐릿해져 있었던 거지,
처음부터 도디랑 같은 열에 세울 아이가 아니었네.
+
사미 그랑프리 – 뷔 라름 출신인 엘라 마리가
사미 토양으로부터 이탈 하는 걸 꽤나 오랫동안 걱정했는데,
이걸 제대로 표현하지는 못해왔었다.
아키가 개판 치고 접은 이후로 엘라 마리는 현재 공석인 내 사미 토큰-_-의 강력한 후보였고,
그래서 저 걱정을 뱉어놓으면,
‘아니 넌 남아서 내 인종/문화권 배분 토큰 노릇 해줘야지.’ 같은 말이 돼버리니 말이다.
간혹 사미 토양 버리고 이딴 의미 없는 거나 해야겠어? 정도의 말은 해왔고,
워낙 커다란 걱정이었으니 종종 새어 나오기도 했지만,
(몇번인가 나도 모르게 썼다 지운 기억이 있다.)
정말로 가슴속에 담긴 불안은 제대로 못 꺼내놓았지.
올초에 내놓은 소포모어 앨범이 사미 자산과 컨템포러리 실험을 정말 잘 조화시켜서 다행이다.
+
이제 하이틴에 접어드는 그레이스 밴더월이 ‘아빠 저 잘했죠?’로 대변되는
멍청한 스타일을 탈피한 건 마음에 든다.
왠지 이 꼬맹이는 그래도 2002년생쯤은 된 것 같아서 너무 늦은 거 아닌가 싶었는데,
이제 열일곱되는 열여섯이면 적당한 정서적 성장곡선을 그리고 있는 거네, 뭐.
+
힐다 스코르는 올해의 8트랙 30분 앨범은 물론
작년의 8트랙 + 2인터미션 트랙 25분 앨범도 EP로 취급한다는 걸 확인하고 좀 어이가…
저기요?
EP로 취급하고 싶으면
8트랙 앨범에 인터미션 두 개 넣어서 10트랙 꽉꽉 채우는 짓은 하지 말라고요!
5트랙에 인터미션 다섯 개 넣는 개짓거리는 개짓거리여도 EP인가보다 하지,
세상 누가 8트랙 앨범을 10트랙으로 만들어 내놓은 걸 보며
아무리 25분만 딱 채웠다고 해서 그걸 EP라고 생각해?
+
슬슬 문제가 되는 게,
TP 목록에 올라갈 때는 경력 세탁을 해서 과거 앨범에 대한 접근을 막아뒀다가,
앨범 내놓고 신인으로 얻을 수 있는 이득이 사라지자 과거 앨범을 다시 공개하는 애들이다.
이런 애들이 있을 거란 거 예상 못한 건 아니지만,
이러는 걸 발견할 때마다 예상한 거 이상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서…
그냥 스트리밍 공개 앨범을 기준으로 데뷔/소포모어를 규정하는 건
아예 포기해야할까 생각중이다.
저건 물론 내가 중간중간 정보 확인을 쉽게 하기 위해서 만든 기준이지만,
좀 더 번거로운 쪽이 이런 거에 하나하나 실망하고 스트레스 받는 것보단 나은 것 같아.
++
이게 참 뭐랄까, 인간적인 실망이 크다.
경력 세탁은 이해할 수 있다. 자기 안 팔린 전작이 앞으로도 커리어에 발목을 잡을 상황에서
그걸 비공개하고 신인인양 하는 거야, 오래 고민하고 자존심을 꺾는 결정을 하는 거다.
그런데 그렇게 꺾인 자존심에 부목을 이어 붙이고는 아무일도 없었던 양 하는 건,
그건 자존심을 꺾는 수준이 아니라 아예 말살을 하는 수준이지.
아니, 애초에 자존심이라고 부를만한 게 없어야 가능한 짓이지.
+
MNDR이 올해 내놓은 게 소포모어 앨범이었어?
……..
7집 가수 아니고?
-_-
아니 2012년 데뷔면 정상적인 3년 간격이라도 4집이어야 하고,
MNDR은 해마다 활동을 꾸준히 하지 않았나?
진짜 2년에 앨범 하나씩 내놓은 것 같은 느낌인데…
-_-;;;
+
엘리엇 리가 pink(freak)으로 확 떴을 때는 그 가장된 불안정함이
내 판정유예 회로를 건드려서 몇번 더 지켜보자는 결론을 내렸는데,
정작 저렇게 자연스럽게 안정된 노래를 하니 대중 반응도 가라앉는 건 뭐랄까….
+
이번에 틱토커들을 대거(?) 목록에 올리면서 느낀게…
확실히 순도가 낮긴 낮다는 거다.
리지 믹알파인 때문에 문호개방-_-을 하긴 했는데,
기껏해야 두섯 건지자고 저거 다 훑어 보는 건 도저히 못하겠어.
유튜브 커버 가수들은 어쨌거나 음색에 경쟁력이 있었는데,
이 아이들은… 가끔 멜로디에 경쟁력이 있는 애들도 있긴하지만
그걸 두 소절까지 늘리는 걸 못한다.
+
메이지 피터스는 싱글 퀄리티 이상으로 순위를 상향조정할 필요가 있어보인다.
정석적인 보컬도 아닌 일개 보컬릿이,
이렇게 다채로운 접근으로 자기 단점을 씹어먹고 장점을 확고하게 어필하는데,
이게 이 정도 케이스가 쌓였으면 이젠 믿어줘야지.휴가 끝나고 복귀하면 바로 조정해야겠다.조정 완료…하긴 했는데,
그동안 내놓은 데뷔 앨범이 6포인터로 꼬라박아서 뭐랄까 좀 의아한 조정이 되긴 했네.
WfGA 2020
WfGA는 Wain for Gain Awards의 약어로,
한 해 동안 내 마음에 쏙 드는 작업을 하여
주류로 성공할 가능성을 영영 잃어버린
한심한 음악가들을 질책하는 의미에서 주는 상입니다.
내가 20년간 들은 노래를 정리한 2 decades 시리즈에서 이어져,
2015년 처음으로 2014년 발표된 노래들을 대상으로 수상을 시작했습니다.
상은 “종말의 시작”, “Jinx Sinks to the Brinks”, “이미지가 아니라 대미지죠”,
“Mytube Likable”, “빗나간 융단폭격”의 본상 5개 부문과
WfVA의 특별상에 해당하는 대상 “Needed to be Needed”까지 6개가 수여됩니다.
아직 기금이 마련되지 않은 상이라서 부상은 없고,
값을 매길 수 없는 영예를 부상으로 드리며,
한국어 상 이름은 아직 고민중입니다.
WfGA 2020 | Artist | Works |
Beginning of the End | Woodes | Crystal Ball |
Jinx Sinks to the Brinks | Dizzy | The Sun and Her Scorch |
Not an Image, but a Damage | Matilda Mann | If That Makes Sense |
Mytube Likable | MIA GLADSTONE | CHANGE THE CHANNEL |
Carpet Bombing Missed | Tally Spear | Tally |
Needed to be Needed | Laura Fell | Safe from Me |
첫 앨범부터 스스로 이 ‘내가 좋아하는 음악가’의 나락으로 걸어들어가는
한심한 음악가들은 어느 해를 막론하고 여럿이 있습니다.
“종말의 시작”은 그 한심한 음악가들 중 가장 싹수가 노란 이에게 돌아가는 상입니다.
2014년의 수상자인 샤를롯터 콸러의 대표곡,
The Beginning of the End에 헌정하는 상이기도 합니다.
2020년의 종말의 시작은 호주의 팝가수 우즈의 Crystal Ball에 수여합니다.
우즈의 데뷔 앨범은 정석적인 팝 음악의 존재 의미를 다시금 상기시킵니다.
완성도 높은 대중적인 멜로디와 보편적인 상황에 대해 깊이 성찰된 가사로 구성된,
모난 곳 없이 미려한 앨범이죠.
물론, 내가 선호하는 진취적이고 무서운 것 모르는 어린애의 앨범은 아니죠.
하지만 결국 작년 데뷔 앨범 중 우즈의 성취에 근접하는 것은 없으니까요.
음악가가 앨범을 두 장쯤 낼 때는, 그건 노래를 진지하게 해보겠다는 뜻입니다.
이걸로 돈을 벌어야 해요.
하지만 두 번째 앨범을 내면서도 성공과는 담을 쌓은 한심한 족속들이 가끔 있죠.
“Jynx Sinks to the Brinks”은
이 정신을 못차리는 바보들에게 경종을 울리는 의미로 수여하는 상입니다.
이거 보세요? 이대로 가면 안 돼요. 커리어가 끝장난다고요!
2020년의 Jynx Sinks to the Brinks은,
보컬과 밴드의 불협화음을 정리하고 완전히 자신의 스타일을 정돈해내는데 성공한,
캐나다의 포크팝, 드림팝 밴드 디지의 The Sun and Her Scorch에 수여합니다.
디지의 보컬 케이티 먼쇼는
어떤 노래를 불러도 주목받을 수 밖에 없는 음색을 타고난 최상급 보컬이었지만,
이 밴드에 갓 들어와서 데뷔 앨범을 내놓았을 때는,
밴드와 겉돌면서 그 훌륭한 음색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며 무의미하게 낭비되었죠.
하지만 이 보컬의 매력을 살리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정확히 인지하고 있던 밴드는
그로부터 1년 반의 짧은 기간동안 빠르게 스타일을 조정하여
케이티 먼쇼의 보컬을 완벽히 활용할 수 있는 노래를 만드는데 성공합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만들어진 이 밴드의 대표곡 Twist이
이 소포모어 앨범에 실리지 않았다는 건 내 분노를 사긴 했지만,
냉정하게 따져보면, 그 Twist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 앨범은 다른 소포모어 앨범들을 압도합니다.
사실 앨범을 파는데 있어서, 앨범 아트의 기여도는 꽤 높은 편입니다.
목록(어떤 목록이든!)을 훑어보며 한번 들어볼만한 노래를 고를 때,
사람들이 참고하는 몇 안 되는 기준 중에는 이 앨범 아트가 들어가 있죠.
하지만, 그 앨범 아트에 나같은 사람 마음에 드는 이미지를 깔아놓아
스스로 판매량을 급감시키는 바보들이 있습니다.
“이미지가 아니라 ‘대미지’죠”는 이 놀라운 바보들에게 내리는 경고입니다.
2020의 이미지가 아니라 대미지죠는 마틸다 맨의 If That Makes Sense에 돌아갑니다.
취향입니다, 존중해주시죠?

유튜브의 성공과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사실 우리는 음악을 듣는 것보다
뮤직비디오를 보는 것이 더 접근성이 높은 세계로 넘어왔습니다.
뮤직비디오는 이제 단순한 프로모션 수단이 아니라,
노래의 정체성을 규정하게 되었죠.
하지만 그렇게 중요한 뮤직비디오에
나나 좋아할 법한 영상을 깔아놓는 변태들이 있습니다.
“Mytube Likable”은 그렇게 유튜브가 아닌
마이튜브에서나 통할 뮤직비디오에 수여되는 상입니다.
2020년의 Mytube Likable은 미국의 얼터너티브 팝 음악가
미아 글래스톤의 Change the Channel에 수여합니다.
사실 이 상의 가장 강력한 후보는 노가 에레즈의 You So Done이었죠.
기계팔에 조종/유도 되어 정해진 레일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노가 에레즈의 모습을 그린 이 뮤직비디오는
비슷한 소재를 다룬 그 어떤 영상보다 더 많은 논점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데 성공했고,
몇몇 소소한 편집 문제를 제외하고는
작년 뮤직비디오 대부분을 커다란 차이로 압도했습니다.
처음 이 미아 글래스톤의 Change the Channel을 후보로 언급할 때만 해도,
그건 의미 있는 대항마로 생각하다기보다는 그냥 병풍으로 몇 개 꼽아 본 거였어요.
하지만 이걸 Mytube Likable 후보로 언급하다보니,
전에는 주목하지 못했던 몇 가지 특징이 눈에 밟히더군요.
이 뮤직비디오의 스토리보드를 구성하는 중심에 놓인,
화면을 찢어 돌리고 뒤트는 영상 효과는
애니메이션 감독인 그레이스 윌의 작품입니다.
그리고 이 과감함이 뿜어내는 매력이 자꾸 눈에 밟히는 거였죠.
You So Done은 오랜 경력의 영상 감독이
정말 잘 뽑힌 스토리보드를 나쁘지 않게 영상으로 옮긴 것이고,
Change the Channel은 이제 졸업 작품을 준비하고 있는 대학생이
(가장 자신감과 과단성이 떨어지는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누구나 할 수 있으나 누구도 하지 않는’ 기법을 과감하고 독창적으로 활용하여
자기가 하고자하는 표현을 해내는데 성공한 영상입니다.
그리고 저런 영상 자체의 속성이 You So Done은 노가 에레즈에게 어울리지 않지만,
Change the Channel은 미아 글래스톤에게 딱 맞아 떨어지죠.
그리고 그렇기에, 이 상은 Change the Channel에 돌아가는 게 맞겠죠.
.. footage: You So Done
내가 공식적으로 싫어하는 속성이 잔뜩 들어간 노래 중에도,
사실은 내가 비밀리에 좋아하는 노래들이 있습니다.
네, 참, 안타까운 일이죠. 성공을 위해 내가 싫어해 마지 않을 노래를 만들었는데!
내가 그걸 좋아한다니 말이에요.
“빗나간 융단폭격”은 이렇게 내가 싫어하는 요소를 융단폭격했으나,
애석하게도 한 점이 빗나가서 내가 그걸 싫어하게 하는데 실패한,
정말 불쌍한 이들을 위로하기 위해 주는 상입니다.
2020년의 빗나간 융단폭격은 탤리 스피어의 두 번째 데뷔 EP, Tally에 수여합니다.
2017년, 2018년 고전적인 포크팝 싱글 Just Don’t Know와
(첫 번째) 데뷔 EP Fade to White로 내게 극찬을 받은 탤리 스피어는
이 데뷔 EP가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하고 묻히자,
2019년 초 얼터너티브 팝락으로 장르를 옮겨 경력 세탁을 시작했죠.
내 장르의 꼬꼬마가 팔리지 않는 노래에 절망하여 떠나가는 일은 늘 벌어지는 일이지만,
이 아이는 정말 포크팝의 정수를 잘 이해하고 있었기에 이건 날 제대로 낙담시켰죠.
하지만, 결코 탤리 스피어가 하는 새 노래들을 싫어하게 되진 못했어요.
오히려, 이 장르에서도 최고급의 성과를 뽑아내 준 덕에,
난 이 아이에게 깊은 애증을 품게 되었죠.
뭐, 이 아이는 결코 자기 노래를 잘 팔 수는 없는 운명인 모양이죠.
2 decades 시리즈에서 underknown of the year을 이 상에 어떻게 반영해야할 지는
날 꽤 오래 고민하게 만들었습니다.
“Needed to be Needed”은 당해 내게서 가장 큰 사랑을 받은,
그리고 대중에게 자기 이름을 알리는데 가장 크게 실패한 앨범에 돌아가는 상입니다.
따라서 이건 WfVA의 특별상 같은 느낌이 되어야겠죠.
2020년의 Needed to be Needed은
영국의 포키시 드림팝 가수 로라 펠의 데뷔 앨범, Safe from Me에 수여합니다.
사실 2020년 나온 앨범 중 가장 성취에 비해 대중적으로 실패한 앨범은
카리 하른에샤의의 Deeper / Further입니다.
단순히 이 앨범이 내게 크게 어필을 했다를 넘어서, 그냥 객관적인 스탯들만 봐도
이만큼 잘 뽑아서 이만큼 망한 앨범은 지난 수년 간을 훑어봐도 찾기 힘들어요.
하지만 결코 카리 하른에샤의에게 이 상을 줄 수는 없었어요.
그건 다 2012년부터 8년이 넘는 시간 동안,
카리 하른에샤의 본인이 꾸준히
자기 노래를 사 듣는 사람들의 기대를 배반했기 때문이거든요.
네, 여기다도 결국 카리 하른에샤의가 2012년 데뷔 앨범을 내놓았을 때 받았던 기대와,
그 이후로 저지른 만행에 대한 사설을 두 문단 넘게 적어나가다
이게 그럴 자리가 아니란 걸 자각하고 다시 지워야 했을 정도로,
난 카리 하른에샤의가 그렇게 잘 만든 앨범을 전혀 못 판 게,
온당하고 공평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래서, 이 상은 차점자인 로라 펠에게 돌아가야만 하겠죠.
왜 로라 펠이 차점자인지 설명하는 건 지면 관계상 생략합니다. 🙂
top prospects 2020
TP는 한해 동안 내 마음에 드는 싱글을 내놓은 유망주들을 정리하는 연간 스레드입니다.
+
이제 슬슬 6월인데, 아직까지도 상위에 올해 마무리 작업을 한 듯한 노래가 눈에 띄게 적다.
아무리 자가 녹음과 마스터링이 간단해졌다고 해도, 결국 그걸 스스로 할 수 있는 게 아니라면…
신인급 인디 가수는 격리로 인한 타격을 직접적으로 받을 수밖에 없겠지.
+
힐다 스코르가 모노님으로 활동을 시작한 덕에 이걸 전혀 모르고 있었다.
심지어 지난 주에 데뷔 앨범을 내놓기까지…
인터미어가 뷔: 라름인지 동키보이인지 좀 헷갈리긴 한데… 일단은 동키보이로 해둬야지.
+
북유럽 경기침체 이후로 노르웨이 신인들이 확실히 뜸했는데,
올해는 뭔가 눈에 띄게 다시 올라와서 점검해보니, 참 뭐랄까.
힐다 스코르고, 헤다 매고, 을리카 브란스투룹이고…
전부 스탠다드 팝이라는 거지.
물론 저 셋의 결과물에 대해 불평하는 건 아냐. 잘 뽑았어.
그런데 그게 ‘더 이상 노르웨이 꼬꼬마들이 꼴리는대로 만들 수 없기에’ 잘 뽑혔다는 게,
노르웨이의 시장 환경이 무너지는 와중에 마지막으로 붙든 균형이라는 게 안타깝다는 거지.
the Complements of 2020 K to N
교차곡선들, 와형곡선들, 현수선들, 렘니스케잇들은
2020년의 두번째 컴플르먼트 패키지:
8 direct and an indirect approaches의 후반부입니다.
8 direct and an indirect approaches의 마지막 플레이리스트인 나선들은
원래부터 다른 열네 개 플레이리스트를 만들고 남은 트랙들의 짬통-_- 플레이리스트인데다,
유튜브 버전에선 일부트랙이 현수선들에 땜빵 들어가야하는 관계로 공개하지 않습니다.
굳이 an indirect approach이 덧붙은 이유가 이 플레이리스트의 존재 때문이긴 하지만,
뭐 어쩌겠어요? 애초에 짬통인 걸.
the Complement of 2020 K: the Nodous Nodaries
폭좁은 교차곡선들은
빼어난 성취를 보인 앨범/싱글을 내놓았지만 여러 이유로 주지해주지 못한 음악가들:
해너 그레이스, 마틸다 맨, 그레이스 길레스피, 지친 사자 등의 컴플르먼트입니다.
the Complement of 2020 L: the Cockled Cochleoids
껍질 덮힌 와형곡선들은
크게 기대하지 않고 있었으나 그 기대치를 한참 넘어선 뭔가를 만들어 온 음악가들:
수줍은 마틴, 테닐 타운스, 엘렌 크라우스, 카일리 오데타 등의 컴플르먼트입니다.
한나 리이스의 DMSH 월드판 수록곡들이 이 컴플르먼트에 포함 된 것은,
내가 이 앨범이 월드 발매가 될거라고는 상상도 하지 않고 있었기 때문이고,
독일계 음악가들이 많이 포함된 것은 의도된 게 아니라,
그냥 내가 독일계 신인들은 웬만해선 2선으로 밀어버리는 버릇이 있어서
저 ‘크게 기대하지 않으나 동향을 지켜보는 음악가’의 카테고리에 독일계 음악가가 많기 때문입니다.
the Complement of 2020 M: the Categorical Catenaries
단정적인 현수선들은
자기 영역을 구축하지 못하고 남의 기준에 끌려다니는 중견 음악가들:
하루살이, 아요, 루머, 안나 이흘리스 등의 컴플르먼트입니다.
하지만 하루살이 복귀 EP가 유튜브에 없는 관계로, 위의 유튜브 플레이리스트에는
하루살이 자리를 데일리스와 잉가비외륵 브라틀란이 대신 메꾸고 있습니다.
the Complement of 2020 N: the Lemonish Lemniscates
좀 맛이 간 렘니스케잇들은
신인 주제에 정신빠진 것 같은 노래를 만들어 온 음악가들:
미아 글래스톤, 딜런, 캐로베이, 애너 소피아, 조다나의 컴플르먼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