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QOP: 2025 1st

Categories 페르디난드의 제안Posted on

one quarter, one playlist은 각 사분기의
뮤직비디오와 리릭비디오 등을 정리하는 연재물입니다.

솔직히 좀 심해요.
14트랙을 채우기가 어려운 수준이었어요.
올 1사분기 노래들은 다들 뭔가 무뎌요.
멜로디나 보컬을 전면에 앞세운 노래가 별로 없다는 거야 뭐 그럴 수도 있는데,
단지 그것만이 아니에요.
그냥, 흐리멍텅하고, 단순히 메시지가 없는 게 아니라 생각이 없다는 느낌이 강하게 들어요.
모르겠어요. 내가 바빠서 그렇게 느끼는 건지, 아니면 정말로 그런지.

OQOP: 2024 4th

Categories 페르디난드의 제안Posted on

one quarter, one playlist은 각 사분기의
뮤직비디오와 리릭비디오 등을 정리하는 연재물입니다.

올해가 OQOP가 시작된 2015년 이래 최악의 작황을 보여준 해긴 하지만,
3사분기에 제대로 박았던 작황이 프라임 시즌에 살짝 숨통이 트이긴 했고,
그래도 이번 분기는 나름 괜찮은 편이었어요.
OQOP에 꼭 들어가야하는, 자리도 정해진 트랙들이 많아서 oqtp를 포기하자마자
거의 아무 고민 없이 플레이리스트가 완성 됐죠.
결과물은 확실히 나쁘지 않아 보여요.
테일러 비켓이나 에밀리 번스는 확실하게 자기 역할을 했고,
앨범은 제대로 꼬라박은 애니 해밀턴도 싱글 하나는 잘 뽑아왔으니까요.
(물론 평소라면 인트로 아우트로 다 있고 삽입음도 있는 이 뮤직비디오는
일찌감치 후보 제외였을 거란 게 함정)
그리고 정말 오랜만에, 3번 부족을 고민하지 않은 OQOP라서 좀 뒷맛이 개운하네요.
3번 가능 트랙이 다섯개라니.

.. honorable mentions입니다.

빌리 라풀의 Homebody는 마땅한 자리가 없어서 빠졌습니다.
되씨의 홀라 파스트 정도는 제끼고 13번으로 들어갈 수도 있을 것 같긴 했는데,
홀라 파스트 – 패러슈트의 조합이 그냥 너무 좋았어요.
이 노래를 13번으로 넣으면 14번도 바꿔야 하는 상황이라서 영 마땅치 않았죠.

앤드류 버드와 매디슨 커닝햄은, 이 프로젝트 앨범 평을 하면서도 지적했듯이,
그냥 조합이 너무 나쁩니다.
노래 잘 뽑았죠.
앤드류 버드 자기 노래 잘하고 있고
매디슨 커닝햄 자기 노래 잘하고 있어요.
근데 합쳐 놓으면 개지랄이 나고
그나마 이렇게 시너지는 안 나도 가까스로 서로 사보타주는 하지 않은 노래도
다른 노래 사이에 집어 넣으면 그냥 개같이 툭툭 튑니다.
이거 플레이리스트에 못 써먹는 노래예요.

난 올해 컴플먼트에서 이 앨범 노래는 일괄 배제하는 것을 생각하고 있어요.
그냥 이걸로는 플레이리스트 못 만듭니다.

이비 아이리는 ‘내가 이 아이를 잊지 않고 지켜보고 있어요’ 특별전형을
차지할 노래를 가져왔지만….
역시 자리가 영 마땅치 않더라고요.
솔직히 oqtp 없는데 한 급 떨어지는 노래를 특별전형으로 넣어주는 건 좀 그렇죠.

사야 그레이의 Shell은 이 노래가 나온 10월초부터
이번 OQOP의 6번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사실 어제까지도 이거 말고 6번은 따로 없다는 생각이 강했어요.
하지만 대니엘라 앤드레이드의 Biking이
원래 생각했던 2번 8번 9번 11번 13번 어디에도 자리를 잡을 수 없다는 결론이 나오자
그냥 사야 그레이 밀어내고 6번에 넣는 것 말고는 답이 안 나왔어요.

OQOP: 2024 3rd

Categories 페르디난드의 제안Posted on

one quarter, one playlist은 각 사분기의
뮤직비디오와 리릭비디오 등을 정리하는 연재물입니다.

좀…. 너무하잖아요?
이번 7, 8월은 앨범만 흉작인 게 아니라 싱글도 거의 전멸 상태예요.
21트랙이었어요.
이 15주간 OQOP후보 트랙이 21트랙이요.
그것도 하 베이가 2트랙, 모씨카가 2트랙이라서
실질적인 가용 트랙은 19트랙이었죠.

OQOP를 만들지 말지 엄청 고민했어요.
그리고 가까스로 만들기는 만들었죠.

.. oqtp도 없지만 honorable mentions도 없어요.
대신 이 정도 됐으면, 저 빠진 5트랙에 대한 obligatory mentions이 대신 있어야겠죠.

하 베이의 Nature’s Bride와 모씨카의 Another High는
언급했듯 같은 음악가의 다른 노래가 있어서 빠졌어요.
특히 모씨카의 Another High는 Mirage와 우열을 가리기 힘들었지만,
Mirage가 빠지면 3번으로 반스 커트니를 써야 하는 답도 없는 상황이었기에
Another High가 빠져야 했죠.

새러 블래스코, 라킨 포, 애너 클렌더닝, 찰리 블리스는 모두 같은 문제로 배제 됐습니다:
너무 게을러요.
그러니까, 난 이 노래들을 들으면서 똑같은 생각을 했어요.
어? 이거 기존곡 새 비디오 찍은 건가? 신곡이라고?
맹세코 난 이 노래들을 전에 들어봤어요.
한두번도 아니고 너댓번은 넘게.
자기 스타일의 중추에 놓인 노래를 또 한 번 만든다면,
뭐라도 다른 게 있어야죠.
아니면 확고하게 높은 성취를 만들던가.

솔직히, 평소라면 이런 노래들 언급도 안 돼요.
빈자리 생기면 채우려고 OQOP 후보로 올리기는 하겠지만,
최종 후보 목록에 올라가는 것도 새러 블래스코 정도 말고는 불가능했을 거예요.

그레이시 에이브람스의 I Love You, I’m Sorry는
아우트로는 물론 인터미션까지 있는 약점에도 불구하고 마지막까지 14번 후보였어요.
사실 평소라면 모씨카와 함께 유이한 honorable mentions 자리를 차지했을 노래가 이 노래죠.
결국 30초나 되는 인터미션을 도저히 감당할 수 없어서 줄리엣 아이비가 14번 트랙을 차지했지만,
이게 뮤직비디오로 만드는 플레이리스트가 아니었다면 14번은 당연히 이 노래였을 거예요.

OQOP: 2024 2nd

Categories 페르디난드의 제안Posted on

one quarter, one playlist은 각 사분기의
뮤직비디오와 리릭비디오 등을 정리하는 연재물입니다.

이번 2사분기는 작황도 그리 좋지 않고 8, 9, 12번에 적당한 노래로 치중된 스타일 덕에
상당히 제한된 풀에서 OQOP를 만들어야 했어요.
하지만 처음부터 자리가 정해진, 꼭 들어가야 하는 트랙들이 많아서
정작 플레이리스트를 만드는데는 크게 신경 쓸 일 없이 쉽게 완성 됐네요.

.. oqtp가 없는 대신 honorable mentions이 좀 많아요.

지아 포드의 Loveshot은 8번 확정곡이었지만,
아우트로의 삽입음이 감당이 안 돼서 빠졌어요.

샬럿 데이 윌슨의 캐노피는 8, 9번 다 자리가 마땅치 않은 판에
아우트로도 길게 붙어서 빠졌어요.

다넬리야의 It’s Only Pain은 강력한 12번 후보였지만
안 그래도 넘치는 12번 후보 중에 가장 음압이 낮은 문제가 발목을 잡았어요.
11번의 파울라 달라 코르타나 13번의 한해하고도가 모두
클라이막스 음압이 특히 높은 편이라
이 문제가 더 도드라지기도 했고요.

안드레아 본 캄펜의 Such Love Does와 린지 로미스의 sick은
강력한 10번 주포, 4, 5, 12번 후보였지만
8번에서 ‘3, 4, 10번도 할 수 있어서’ 밀린 새러 크레인이 10번을 차지하면서
자리가 사라졌어요.

폰드는 원래 9번 확정에 가까웠지만,
폰드가 내 마음에 드는 싱글 내놨다 -> 그 분기 OQOP 9번은 폰드 차지가
뭔가 너무 매크로스러워서 뺐어요.

OQOP: 2024 1st +oqtp

Categories 페르디난드의 제안Posted on

one quarter, one playlist은 각 사분기의
뮤직비디오와 리릭비디오 등을 정리하는 연재물입니다.

이번 1사분기는 미쳐 날뛰는 신인들과
적절하게 자기 할 일 해주는 중견들의 조화로
넘치는 풀에서 쉽게 쉽게 OQOP가 완성 됐어요.
원래는 oqtp에 어펜딕스도 하나 더 만들까 싶긴 했는데….
어펜딕스는 없애고 대충 oqtp 농도를 높이는 편이 나을 같아서 oqtp까지만 만들었어요.

아래 “Nothing” is Better than Something In-between은
그렇게 오랜만에 OQOP에 비등한 수준으로 뽑아낸 oqtp입니다.
어쩌다보니 플레쳐의 Lead Me On이 타이틀 트랙이 되긴 했는데,
이 노래가 이 플레이리스트를 대표하는 노래라서 이걸 타이틀로 삼은 건 아니에요.
타이틀 트랙으로 어울리는 노래는 아이리스 진의 Sleep Tonight이나
이든 레인의 Closer이겠지만,
이든 레인의 Closer은 honorable mentions에서 설명할 문제-_-가 있고,
Sleep Tonight은 가사가 너무 짧아서 타이틀을 뽑을만한 부분을 찾기 힘들었죠.
그 와중에 Lead Me On의 가사가
어펜딕스를 날리고 농축시킨
이 플레이리스트의 상황과 정반대의 얘기를 하고 있어서
그 가사를 빌려다 제목 삼은 거예요.
Lead Me On의 가사 자체도 살짝 꼬아놓은 역설이라서
그걸 뒤집으니 제목이 제대로 꼬이긴 했고,
이쪽은 저 따옴표와 하이픈 없이는 의도가 아예 전달도 안 되는 수준으로
꼬인 게 문제이긴 한데….
뭐, 난 마음에 들어요.
솔직히 뭐 각주도 아니고
따옴표에 하이픈 정도로 뜻이 통하긴 한다면 대단히 꼬인 것도 아니잖아요.

.. 어펜딕스를 날린 덕에 honorable mentions도 꽤 나온 편이에요.

이든 레인의 Closer는 적어도 oqtp 7번 확정에 OQOP의 빈자리도 메꿀 트랙이었지만,
이 공식 영상의 음량이 너무 작아서 뺄 수 밖에 없었어요.
특히 oqtp 8번인 릴리 피츠가 음량이 큰 편이기까지 해서
도저히 각이 안 나왔죠.

탤리 스피어는 그냥 ‘음악외적인’ 경쟁력이 부족했어요.
이게 신인 가수 노래거나, 좀 더 잘 뽑아 왔더라면
oqtp 확정 정도는 받은 상태로 배치를 고민했을 테지만…
이 정도 애매한 수준으로 조명을 받기에는
지금껏 탤리 스피어는 너무 스팟을 땡겨 받아왔죠.

시메르즈는 원래 oqtp 6번으로 확정되어 있었지만…
oqtp에 인트로 아우트로 달린 노래들을 집어넣기로 결정한 덕에
인트로 아우트로 둘 다 달려서 연옥에 박혀 있던
사야 그레이가 기어 올라와 자리를 뺴앗아 갔죠.
사실 가장 큰 문제는 시메르즈의 이번 프로젝트가
시메르즈치고 전혀 실험적이지 않다는 거였죠.
시메르즈는 결국 내게서 6번 자리 밖에 못 얻어가는데,
걸뢰낯짝처럼 8번이나 9번 자리도 노려 볼 수 있는 입지가 아닌데
(+ 생각해보니 걸뢰낯짝은 종종 5번이나 12번도 노리는 밴드였죠.
모리배나 라임 정원 같은 밴드나 앨리스 피비 루를 언급해야 맞았겠네요.)
이렇게 6번으론 존재감이 부족한 노래를 뽑으면 자리를 잃을 수 밖에 없죠.
굳이 사야 그레이가 아니더라도 결국 6번으로는 부족하고
8번에는 어울리질 않아서 잘렸을 거예요.
곡의 완성도와 별개로, 내 플레이리스트 구성에는 자리가 없는 노래란 게 문제였죠.

oqtp는 인트로 아우트로를 조금 용인하고
넘어가려했지만, 좀 과한 노래들은 자를 수밖에 없었어요.

바이얼과 수키 워터 하우스는 긴 인트로가 무음도 아니라서 잘렸어요.

브린 카텔리는 좀 심했죠.
아무리 무음 인트로라고 해도 26초는 너무 하잖아요?
아니, 26초쯤 되면 무음이란 게 오히려 문제지!
진짜 제정신인가?

OQOP: 2023 4th

Categories 페르디난드의 제안Posted on

one quarter, one playlist은 각 사분기의
뮤직비디오와 리릭비디오 등을 정리하는 연재물입니다.

계속된 3번 찾기가 내 생활 자체를 피폐하게 만들고 있어서
한 주 빨리 종결된 oqop입니다.
말리 체이니의 Playing Kid는 3번에 필요한 요소를 모두 충족하는 완벽한 3번입니다.
말리 체이니의 Playing Kid는 3번에 필요한 요소를 모두 충족하는 완벽한 3번입니다.
말리 체이니의 Playing Kid는 3번에 필요한 요소를 모두 충족하는 완벽한 3번입니다.
말리 체이니의 Playing Kid는 3번에 필요한 요소를 모두 충족하는 완벽한 3번입니다.
말리 체이니의 Playing Kid는 3번에 필요한 요소를 모두 충족하는 완벽한 3번입니다.
말리 체이니의 Playing Kid는 3번에 필요한 요소를 모두 충족하는 완벽한 3번입니다.
말리 체이니의 Playing Kid는 3번에 필요한 요소를 모두 충족하는 완벽한 3번입니다.

이젠 좀 믿으라고.

oqtp가 없는 관계로 honorable mentions이 좀 많아요.

로지 H 설리반의 Wildflowers and Cobblestones은 Timeless보다 잘뽑힌 노래지만,
여러가지 문제가 있어서 플레이리스트에 쓸 수가 없었어요.
앞 트랙을 잡아먹기 때문에 1번으로 써야하는데
앤지 믹마흔의 Exploding이 다른 트랙들에 비해 한 급 높은 노래라
1번에 유배 보내놓지 않으면 더 난장질을 쳐대는 걸 어쩔 수 없었죠.

유리장이의 Easy는 6, 8, 9, 12번 빈자리를 메워줄 전천후 땜빵이었지만,
저 자리 노래들은 넘쳐나는 바람에 쓸 일이 없었죠.

시드니 미라의 BAD은 훌륭한 2번이었지만
1번에 밖에 못들어가는 Exploding이 한 급 높은 노래라면,
이 노래는 한 급 낮은 노래라서 2번에 못 들어가고 밀리다 내려갔어요.
oqtp가 있었다면 참 쓸 곳이 많았을텐데,
없으니 그냥 천덕꾸러기가 되네요.

에멜린은 12번해줘야할 말리 체이니나 홀리 험버스톤이 3번, 10번 땜빵하러 빠진 덕에
빈 12번을 채우려고 유리장이, 다포와 함께 12번 후보로
거의 마지막까지 oqop 후보로 올라 있었어요.
하지만 저 3번찾기 숙제에서 수혈된 테일러 비켓이 10번을 채워주면서
10번 땜빵도 할 수 있는 게 유일한 장점이었던 에멜린은 완전히 뒤로 밀렸죠.

랫백의 exit girl은 거의 확정된 6번이었지만,
이래저래 플레이리스트 후반부가 두터워지면서
11 12 13 후보였던 다포의 자리가 애매해진 탓에
다포에게 6번 자리를 내주고 빠지게 됐어요.

다포는 12번으로 쓰면 Good God을, 13번으로 쓰면 이 Poor Madeline을 넣을 거였어요.
둘이 그냥 고만고만한 노래라서 뭐 하나가 꼭 들어가야 하는 건 아니었죠.
그런데 Poor Madeline은 결코 어울리지 않는
6번 자리로 옮겨가게 되면서 Good God이 들어가게 됐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