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의 두번째 컴플르먼트 플레이리스트 세트입니다
the Complement of 2024 BB
the Complement of 2024 BC
the Complement of 2024 BD
2024년의 두번째 컴플르먼트 플레이리스트 세트입니다
the Complement of 2024 BB
the Complement of 2024 BC
the Complement of 2024 BD
TP는 한해 동안 내 마음에 드는 싱글을 내놓은 유망주들을 정리하는 연간 스레드입니다.
+
이제 슬슬 6월인데, 아직까지도 상위에 올해 마무리 작업을 한 듯한 노래가 눈에 띄게 적다.
아무리 자가 녹음과 마스터링이 간단해졌다고 해도, 결국 그걸 스스로 할 수 있는 게 아니라면…
신인급 인디 가수는 격리로 인한 타격을 직접적으로 받을 수밖에 없겠지.
+
힐다 스코르가 모노님으로 활동을 시작한 덕에 이걸 전혀 모르고 있었다.
심지어 지난 주에 데뷔 앨범을 내놓기까지…
인터미어가 뷔: 라름인지 동키보이인지 좀 헷갈리긴 한데… 일단은 동키보이로 해둬야지.
+
북유럽 경기침체 이후로 노르웨이 신인들이 확실히 뜸했는데,
올해는 뭔가 눈에 띄게 다시 올라와서 점검해보니, 참 뭐랄까.
힐다 스코르고, 헤다 매고, 을리카 브란스투룹이고…
전부 스탠다드 팝이라는 거지.
물론 저 셋의 결과물에 대해 불평하는 건 아냐. 잘 뽑았어.
그런데 그게 ‘더 이상 노르웨이 꼬꼬마들이 꼴리는대로 만들 수 없기에’ 잘 뽑혔다는 게,
노르웨이의 시장 환경이 무너지는 와중에 마지막으로 붙든 균형이라는 게 안타깝다는 거지.
타원들, 쌍곡선들, 쌍엽선들, 정사변원들, 추적선들 그리고 풀림나선들은
A to F 베스트 앨범 포맷에 맞춰 만든
2020년의 첫번째 컴플르먼트 패키지입니다.
나머지 컴플르먼트도 특정 테마의 패키지로 제작할지,
아니면 그냥 하나씩 따로 제작할지는 아직 미정입니다.
쓸만한 곡선 이름들이 열댓개 밖에 더 떠오르지 않고,
그나마도 플레이리스트 테마와 운을 맞출만한 형용사가 마땅치 않은 경우가 많고
노다리나 렘니스케잇 같이 한국어로 번역이 거의 불가능한 곡선들도 많아서
나머지 플레이리스트는 제목을 정하는 방식도 바뀔 수 있습니다.
the Complement of 2020 A: the Elapsed Ellipses
흘러지나온 타원들은
높은 성취를 보여준 내 탑라이너 기대주들:
디지, 탤리 스피어, 힐다 스코르, 모씨카, 마틸다 맨 등의 컴플르먼트입니다.
the Complement of 2020 B: the Hyperbaric Hyperbolae
압력 높은 쌍곡선들은
올해 가장 대담한 시도를 보여준 음악가들:
카리 하른에샤의, 미안, 드림와이프, 루파 J, 저 커다란 달 등의 컴플르먼트입니다.
the Complement of 2020 C: the Bifocal Bifolia
이면적인 쌍엽선들은
다채롭고 창의적인 시도로 주목을 끈 음악가들:
한나 얘르베르, 헤일리 윌리엄스, 브라이드, 새끼 사슴 등의 컴플르먼트입니다.
the Complement of 2020 D: the Squiffy Squircles
만취한 정사변원들은
틀에박힌듯하면서도 유연한 구성을 보여준 음악가들:
애너 클렌데닝, 위노나 오크, 디지, 하프라이브스 등의 컴플르먼트입니다.
the Complement of 2020 E: the Tractile Tractrices
쉬이 느슨해지는 추적선들은
몇년간의 삽질을 언제 그런 짓을 했냐는듯 접어두고
뜬금없이 자기 스타일의 정수를 도로 끄집어내 심지어 완성까지 해 낸 중견 음악가들:
에이미 맥도널드, 케잇 밀러-하잇키, 아사프 아비단, 나딘 샤의 컴플르먼트입니다.
the Complement of 2020 F: the Liturgical Litui
성찬식용 풀림나선들은
올해 나를 가장 많이 매료시킨 음악가들:
우즈, 헤다 매, 걸뢰낯짝, 엘라 보스, 팔룰라의 컴플르먼트입니다.
Achievement | 바네사 칼튼 | Love is an Art |
Boldness | 카리 하른에샤의 | Deeper / Further |
Creativity | 걸뢰낯짝 | sorry for the late reply |
Developability | 디지 | The Sun and Her Scorch |
Expertness | 피오나 애플 | Fetch the Bolt Cutters |
Fascination | 우즈 | Crystal Ball |
TP는 한해 동안 내 마음에 드는 싱글을 내놓은 유망주들을 정리하는 연간 스레드입니다.
아래의 숏리스트는 이 리스트가 너무 길어지면서 무의미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좀 더 좀 더 까다로운 기준으로 걸러낸 14트랙 플레이리스트입니다
+
2019년 5월 7일자로 TP2019의 기준을 소급하여 풀리스트에서 50여곡을 삭제했습니다.
이 TP 기준 변경은
TP2018에 기존에 충분히 강조되어 온 음악가들이 너무 많아서 행해진 것이기에,
여기에는 소급 적용하는 것이 옳은 것 같네요.
전체 목록
+
우즈 노래는 처음 들었을 때 별로 마음에 안 들었었는데,
그 이야기를 하니까 K가 “엠마 루이스가 저 노래를 내놨다고 생각해봐” 한 마디 해줬다.
하…. ㅅㅂ.
하이고 이 엠마 이 잉여년아 어쩌자고…. 하……
응. 엠마 루이스가 저 노래를 내놨다면 진짜 물고 빨고 난리도 아니었겠지.
하이고… 진짜 그 스탯 가지고 어쩌자고………….
+
이나 브롤센은 TP를 처음 시작한 2016년의 유머포인트였다.
이나 브롤센이 ‘유망주’라는 게.
그런데 올해까지 올라오냐-_-
장난 하는 것도 아니고 앨범 안 내냐 진짜-_-;;;;;
+
에이시스의 Waiting for You를 처음 숏리스트에 올릴 때는,
얼마 안 가서 내려가겠지. 했었다.
그런데 한 달 쯤 지나면서 보니,
이것만한 아우트로가 올해 안에 나올 것 같지가 않다.
++
오랜만에 보니 웨이팅 포 유가 내려가긴 내려갔는데…
그 결과로 숏리스트가 몇 달 째 14번이 없는 상태다-_-;;;
로바 알빌데가 14번 서야하는 플레이리스트라니;;
+
라라 기어의 무명 보정 포인트는 너무 쎄다;;
다시 계산해보니까 첫자리부터 열네번째까지 전부 숏리스트 대상이어도,
라라 기어가 53위 밖으로 밀려야 열네번째 노래가 라라 기어를 자르고 들어갈 수 있는데…
현실적으로 저게 28번째 정도에 걸릴 것을 생각해보면…
라라 기어는 80위 정도로 밀려도 여전히 숏리스트에 이름을 올릴 거란 말이지.
결론은 무명 보정 포인트 계산식을 좀 손봐야겠다는 건데…
이게 라라 기어가 진짜 0에 가까운 무명이라서 무한대 수준의 포인트를 뽑아 버린 게 문제지,
실제로 라라 기어 외에 이 정도 보정 포인트를 받아갈 사람은 또 없을 거고…
계산식 어떻게 만져야할지 얼른 감이 안 잡힌다.
그렇다고 당장 고치기에는 현재의 계산식은 라라 기어 말고는 문제를 일으킨 적이 없단 말이지.
라라 기어 경우에 저렇게 포인트가 미친듯이 불어나버린 가장 큰 원인은
유튜브 채널 구독수 58, 스포티파이 평균 월간 청취 36 때문인데…
구독자나 청취자 수가 아무리 적어도 어느 정도 이하로는 안 떨어지게
최소값 캡을 적용하면… 아니, 아니다.
라라 기어가 이렇게 된 건, 이 아이가 올해 초에 싱글 하나 툭 던지고
다른 활동을 하나도 안 해서잖아.
꾸준히 싱글 내놨으면, 월간 청취가 2~300 선은 됐겠지.
현재까지 내놓은 싱글 수와 당해 분기별로 내놓은 싱글에 맞춰서
누적 수치를 보정해야겠네…
……….
개 귀찮은데-_-?
…………………..
아니 이런 케이스는 앞으로도 10년에 하나쯤 나올 거 같은데-_-
…………….
해야 돼?
………………
그거 해 봐야 별반 차이도 없을 건데?
++
그래, 무명 보정 해줘야지! 라라 기어 정도 무명이면 이 정도 무명 보정 받아야지!
맞잖아. 저게 라라 기어가 아니라 피에였어 봐라.
피에가 저 정도 인지 안 되고 묻혀서 미친 보정 포인트 받고 숏리스트에 있다고 생각해봐.
그럼 그 보정 포인트 당연하고 공정한 거라고 했을 거잖아.
저게 “숏리스트 보장 티켓”을 받기엔 내가 딱히 아끼는 부분이 없는 라라 기어니까 문제인 거잖아.
문제는, 라라 기어의 무명 보정이 이렇게 커져버린 건,
이 아이가 이 노래를 두고 포기해버렸기 때문이라는 거지.
하나, 라라 기어와 똑같은 스탯이라도 1월에 노래를 내놓은 것과,
11월에 노래를 내놓은 게 스포티파이 평균 청취지수가 다를 거라는 거다.
라라 기어는 128 64 32 16 14 12 …. 이런 식으로 가서 평균 36까지 떨어진 건데,
11월에 내놨으면 128 64로 평균 96을 찍을거라는 거지.
또한 비슷한 영역으로,
현재의 무명 보정 포인트에는, 연초에 활동을 하고 반응이 없어서 포기해 버린 가수가,
반응이 없음에도 고집있게 꾸준히 활동을 한 가수보다 더 높은 점수를 받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일단 스포티파이 청취 평균은,
싱글을 하나라도 내놓은 분기의 달만 평균을 내는 정도로 조정해야겠다.
이렇게 조정하면 라라 기어의 숏리스트 보장 하한은 53위가 아니라 38위가 되고,
28번 기준 숏리스트 보장선은 80수준이 아니라 58위가 된다.
연말에 가면 58위쯤에 걸쳐 있을 노래가
노아 사이러스의 We Are, AVEC의 Under Water, 에이시스의 Waiting for You인데,
응. 이 정도 선이면 딱 무명보정으로 숏리스트 들어가는 거 용납되는 노래들이지.
그래, 이게 괜찮은 교정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