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prospects 2025

Categories 어린 아름다움에 대한 찬가Posted on

TP는 한해 동안 내 마음에 드는 싱글을 내놓은 유망주들을 정리하는 연간 스레드입니다.


1. 매들린 메이 (미국/2002/-/2023년 데뷔)

2. 앰버 밴 데이 (영국/1996/데이빗 밴 데이/데뷔전)

3. 그레이스 밴더월 (미국/2004/갓 탤런트/2017년 데뷔)

4. 아이보리 레인 (미국/1994/-/데뷔전)

5. 에마 라몽타인 (캐나다/2000/-/2019년 데뷔)

6. 메이시 토드 (미국/1998/-/2022년 데뷔)

7. 클로이 애덤스 (영국/1998/유튜브/2023년 데뷔)

8. 이리스 콜트봐이트 (노르웨이/1996/뷔: 라름/2021년 데뷔)

9. 피오나 그레이 (미국/1995/-/데뷔전)

10. 여러분의 스미스 (미국/1988/캐롤라인 스미스/데뷔전)

11. 마야 딜라일라 (영국/2000/-/데뷔전)

12. 모건 세인트 (미국/1993/-/2018년 데뷔)

13. 패리스 팔로마 (영국/2000/-/데뷔전)

14. 나즈 (네덜란드/1998/-/2023년 데뷔)

15. 아이스테르 (벨기에/????/-/데뷔전)

16. 랫백 (뉴질랜드/????/-/데뷔전)

17. 홈 스윗 호미스 (미국/????/케이틀린 로들리/데뷔전)

18. 윌로우 애벌런 (미국/1998/-/데뷔전)

19. 릴리 프리츠 (미국/2001/-/데뷔전)

20. 테일러 부노 (미국/1993/유튜브/2022년 데뷔)

21. 왕족과 큰 뱀 (미국/1994/라이언 질리언 샌티아고/데뷔전)

22. 그리프 (영국/2001/워너/데뷔전)

23. 이비 아이리 (호주/2003/-/데뷔전)

24. 이사벨 플레스 (미국/2001/-/데뷔전)

25. 린 래피드 (미국/2002/-/2023년 데뷔)

26. 리애너 파이어스톤 (미국/2001/틱톡/2022년 데뷔)

+
어우, 올해 업뎃 안 한 거 봐.
전부 기존 가수에 메이시 토드랑 이리스 콜트봐이트만 추가인데,
메이시 토드는 그냥 기존에 내놓은 싱글이 TP에 올라올 수준이 아니었던 거지
꾸준히 트래킹 하고 있던 가수고,
이리스 콜트봐이트는 이리스의 바뀐 이름….

++
그나저나 이리스 콜트봐이트 이름 표기를 좀 더 고민해봐야곘다.
원래 성은 Kolltveit, 이걸 Caltwait으로 옮겨 놨는데,
일단 내 노르웨이어 표기법에 따른 표기는 콜트봐이,
실제 발음에 가까운 건 콜톼잇,
영어 표기로 의도한 발음은 콜트와이트,
이렇게 보면 콜톼잇이 확실히 좋아 보이긴 한다.
그리고… 이리스냐 아이리스냐.
이건 영어권 인터뷰 자료를 좀 찾아봐야겠네…
음… 이미 iris 시절에 영어 Q&A에서 자기 이름이 언급된 질문을 읽을 때 아이리스라고 읽네.
그럼 굳이 성을 영어식으로 표기했으니,
이름도 아이리스로 표기하는 게 맞겠지?
아이리스 콜톼잇?
아니, 아이리스 콜트와이트로 확고하게 영어식으로 써야겠어.

top prospects 2024

Categories 어린 아름다움에 대한 찬가Posted on

TP는 한해 동안 내 마음에 드는 싱글을 내놓은 유망주들을 정리하는 연간 스레드입니다.


1. 로웨나 와이즈 (호주/1993/-/2024년 데뷔)

2. 딜라일라 브라우 (미국/1999/-/데뷔전)

3. 이리스 쟝 (네덜란드/2002/-/데뷔전)

4. 새러 크레인 (아일랜드/2001/-/2021년 데뷔)

5. 프리트베르크 (오스트리아/1985/안나 F/데뷔전)

6. 줄리아나 매드릿 (미국/2001/-/데뷔전)

7. 올라 가틀란드 (아일랜드/1995/유튜브/2021년 데뷔)

8. 페리스와 실베스터 (영국/1996/이씨 페리스/2022년 데뷔)

9. 탤리 스피어 (영국/1995/-/데뷔전)

10. 도라 자 (미국/1996/-/데뷔전)

11. 지아 포드 (영국/1996/-/데뷔전)

12. 딜라일라 몬태규 (영국/1998/-/2021년 데뷔)

13. 호프 탈라 (영국/1997/-/데뷔전)

14. 조다나 (미국/2000/-/2022년 소포모어)

15. 이든 레인 (영국/2002/-/데뷔전)

16. 되씨 (노르웨이/1995/뷔: 라름/2022년 데뷔)

17. 파울라 달라 코르트 (독일/2001/더 보이스/2024년 데뷔)

18. 진정 단독 (미국/1989/-/2024년 소포모어)

19. 윌로우 애벌런 (미국/1998/-/데뷔전)

20. 애비 세이지 (캐나다/1997/-/데뷔전)

21. 애니 해밀턴 (호주/1992/리틀 메이/2022년 데뷔)

22. 골다 메이 (미국/????/-/데뷔전)

23. 맬린다 (미국/1994/번역 오류/2023년 데뷔)

24. 트렐라 (미국/1995/-/데뷔전)

25. 모씨카 (미국/1995/-/2022년 소포모어)

26. 씬 (미국/1992/케이티 페리/데뷔전)

27. 마리아네 (미국/????/-/2021년 데뷔)

28. 롤 엘 (캐나다/1992/-/2023년 데뷔)

29. 말리 체이니 (미국/2001/크리스 체이니/데뷔전)

30. 그레이스 밴더월 (미국/2004/갓 탤런트/2017년 데뷔)

31. 케잇 페터빈 (미국/2005/틱톡/데뷔전)

32. 소피 할러핸 (미국/2002/-/데뷔전)

33. 모니 (리투아니아/????/-/데뷔전)

34. 새러 킨슬리 (미국/2000/틱톡/데뷔전)

35. 테일러 비켓 (미국/1999/-/데뷔전)

36. 에밀리 번스 (영국/1994/-/데뷔전)

37. 린지 로미스 (미국/2002/-/데뷔전)

38. 릴라 듀폰 (미국/2004/-/데뷔전)

39. 블루 드타이거 (미국/1998/-/데뷔전)

40. 한해하고도 (스위스/????/-/데뷔전)

41. 제네비브 스톡스 (미국/2001/-/데뷔전)

42. 키티 노블 (미국/2003/-/데뷔전)

43. 하 베이 (미국/????/-/데뷔전)

44. 비아트릭스 (미국/1998/에이리얼 캐스네츠/데뷔전)

45. 케이틀린 타버 (미국/1989/니켈로디언/2021년 데뷔)

46. 비가 알아서 할 일 (영국/2004/-/데뷔전)

47. 정탐꾼 (영국/????/-/데뷔전)

48. 매기 로저스 (미국/1994/퍼렐 윌리엄스/2022년 소포모어)

49. 릴리 윌리엄스 (영국/1992/-/2023년 데뷔)

50. 홈 스윗 호미스 (미국/????/케이틀린 로들리/데뷔전)

51. 사야 그레이 (캐나다/1995/-/2022년 데뷔)

52. 블룸 쌍둥이 (우크라이나/1996/-/데뷔전)

53. 로봐 알뷜데 (스웨덴/1998/JESC/2021년 데뷔)

54. 클로이 애덤스 (영국/1998/유튜브/2023년 데뷔)

55. 다포 (미국/2004/-/데뷔전)

56. 멕 스미스 (미국/1999/-/데뷔전)

57. 애비 홀리데이 (미국/1997/-/데뷔전)

58. 릴리 프리츠 (미국/2001/-/데뷔전)

59. 이비 아이리 (호주/2003/-/데뷔전)

60. 리시 네이링크 (벨기에/2006/-/데뷔전)

61. 조이 고 (미국/2001/-/데뷔전)

62. 모건 세인트 (미국/1993/-/2018년 데뷔)

63. 발렌시아 그레이스 (영국/2003/-/데뷔전)

64. 샬럿 데이 윌슨 (캐나다/1992/피치포크/2021년 데뷔)

65. 미케나 그레이스 (미국/2006/디즈니/2023년 데뷔)

66. 아이보리 레인 (미국/1994/-/데뷔전)

67. 시메르즈 (노르웨이/1992/뷔: 라름/2021년 데뷔)

68. 모리배 (영국/1997?/-/데뷔전)

69. 케일라 레이 헤이우드 (호주/1995/엑스팩터/데뷔전)

70. 신비로운 다과회 (호주/????/-/데뷔전)

71. 그레이시 에이브람스 (미국/1999/-/2023년 데뷔)

72. 미셸 듀크레이 (뉴질랜드/????/-/데뷔전)

73. 소피 어빙 (영국/????/-/데뷔전)

74. 브린 카텔리 (미국/2003/-/데뷔전)

75. 줄여서렌 (캐나다/2002/-/2022년 데뷔)

76. 그리프 (영국/2001/워너/데뷔전)

77. 별거안냐 (독일/2002/-/데뷔전)

78. 파비애나 팰러디노 (영국/1994?/-/데뷔전)

79. 클로이 슬레이터 (영국/2003/-/데뷔전)

80. 빅토리아 비글로우 (미국/1994/-/데뷔전)

81. 로즈 그레이 (영국/1996/-/2021년 데뷔)

82. 소피아 알렉사 (영국/2006/-/데뷔전)

83. 애니카 베넷 (미국/1998/-/데뷔전)

84. 왕족과 큰 뱀 (미국/1994/라이언 질리언 샌티아고/데뷔전)

85. 로지 (미국/2000/-/2021년 데뷔)

86. 매들린 메이 (미국/2002/-/2023년 데뷔)

87. 베니 (벨기에/????/-/데뷔전)

88. 밀리 터너 (영국/2000/-/2021년 데뷔)

89. 프랭키 버드 (미국/1992/프랭키/2023년 커리어 리셋)

90. 틸리 (미국/????/그레이스 켈리/데뷔전)

91. 리스 (캐나다/1997/-/2022년 데뷔)

92. 므랜대 (미국/1997?/-/데뷔전)

93. 스텔라 콜 (미국/1997/-/데뷔전)

94. 라이라 (영국/1992?/-/데뷔전)

95. 위노나 오크 (스웨덴/1994/-/2022년 데뷔)

96. 애너 클렌데닝 (미국/1993/갓 탤런트/데뷔전)

97. 로렌 메이베리 (영국/1987/처치스/데뷔전)

98. 통통한 고양이 (아일랜드/????/-/데뷔전)

99. 리아나 크로포드 (미국/1995/-/데뷔전)

100. 제시 머프 (미국/2004/틱톡/2023년 데뷔)

101. 새미 레이 (미국/1994/-/데뷔전)

102. 소여 (미국/1995?/-/데뷔전)

103. 빨간 옷 입은 소녀 (노르웨이/1999/뷔: 라름/2021년 데뷔)

104. 패리스 팔로마 (영국/2000/-/데뷔전)

105. 개틀린 (미국/1998/-/데뷔전)

106. 예전에 예전에 비비 안이라 불렸던 보위라 불렸던 봅이 (독일/1992/비비 안/데뷔전)

107. 수키 워터하우스 (영국/1992/배우커리어/2022년 데뷔)

108. 아샤 제프리스 (호주/1998/-/데뷔전)

109. 헤이 바이올렛 (미국/1998/체리 밤/2017년 소포모어)

110. 앰버 밴 데이 (영국/1996/데이빗 밴 데이/데뷔전)

111. 루나 섀도우스 (미국/1987/-/2021년 데뷔)

112. 마리아 켈리 (아일랜드/????/-/2021년 데뷔)

113. 걸리 (영국/1997/유튜브/2019년 데뷔)

114. 바이얼 (미국/????/-/2021년 데뷔)

115. 애니 오말리 (미국/2000/-/2022년 데뷔)

116. 플레처 (미국/1994/엑스팩터/2022년 데뷔)

117. 아스트리 S (노르웨이/1996/멜루디 그랑프리 유니오르/2020년 데뷔)

118. 리애너 파이어스톤 (미국/2001/틱톡/2022년 데뷔)

119. 딜런 (영국/2000/나즈/2022년 데뷔)

120. 줄리엣 아이비 (미국/2001/-/데뷔전)

121. 크리스티나 먼시 (미국/2001/-/데뷔전)

122. 프카씨 (미국/1997/블루 엘란/2024년 커리어 리셋)

123. 로사 린 (아르메니아/2000/유로비젼/데뷔전)

124. 라임 정원 (영국/????/-/데뷔전)

125. 비지 (미국/1998?/-/데뷔전)

126. 캐시 다실바 (캐나다/1993/-/데뷔전)

127. 엘 디바인 (영국/1998/-/데뷔전)

128. 마틸다 맨 (영국/2000/-/데뷔전)

129. 데스티니 로저스 (미국/1999/-/데뷔전)

130. 에마 오지어 (미국/2004/틱톡/데뷔전)

131. 라나 너팰 (미국/1998/-/데뷔전)

132. 웰트 (스웨덴/1996?/-/데뷔전)

133. 알리 샐로트 (미국/2003/유튜브/데뷔전)

134. 이사벨 플레스 (미국/2001/-/데뷔전)

135. 다넬리야 (카자흐스탄/2006/유튜브/데뷔전)

136. 안온리 (독일/????/이자벨 호니히/데뷔전)

137. 다모나 (독일/2005/틱톡/데뷔전)

138. 샬럿 로렌스 (미국/2000/빌 로렌스/데뷔전)

139. 애실리 커쳐 (미국/1998/틱톡/2024년 데뷔)

140. 소디 (미국/2000/-/데뷔전)

141. 에이버리 애너 (미국/2004/-/데뷔전)

142. 레이첼 보크너 (미국/1998/타이거 대로우/데뷔전)

143. 요시카 콜웰 (영국/2001/-/데뷔전)

144. 에이미 앨런 (미국/1992/샬럿 데이 윌슨/데뷔전)

145. 아이스테르 (벨기에/????/-/데뷔전)

146. 이바 (영국/????/에바 다미야노바/데뷔전)

+
Brao가 이탈리아 어름의 남유럽계 성이 아니라 아일랜드계 성이었다고?
당연히 남유럽계라고 생각하고 [브라오]로 읽었는데,
게일어 [브라우]였다고?
…..
어우….
이건 좀 아프네.
그러게,
게일어라고 생각하고 보면 게일어 단어인데….
보스턴 출신의 녹회색 눈 달린,
약한 붉은기 도는 연갈색 머리에
주근깨 많은 회백색 피부를 한 아이 이름이면….
아일랜드계라는 걸 당연히 생각했어야 했던 거 같긴 한데….

++
생각해보니 이게 이름이 딜라일라인 게 큰 것 같다.
딜라일라는 워낙에 그 이름 주인인 들릴라가 성서 상의 악녀인 탓에
근대 영미에서부터 쓰인 영미계 이름이지만
어감이 그냥 남유럽계 느낌이 강해.

++
딜라일라 브라우가 생각한 것보다 나이가 꽤 있는 편이네,
2020년 8월 인터뷰에 ‘I am a senior this year’이라고 했는데,
그럼 9월에 4년차 된다는 얘길테니까
(이게 다른 년차면 올해 n년차였다는 거야, 올해 n년차 된다는 거야?
싶어서 애매했을텐데… 8월에 4년차는,
졸업했는데 I am a senior 이 지랄 하진 않았을 거잖아.
찾아보니 심지어 버클리는 4년차 여름학기가 없어서 5월 졸업 학제네.)
2020년 9월 기준 21세라는 거고,
그럼 2/3 확률로 1999년생일테니
1999년생으로 추정하는 게 맞겠지.
저 인터뷰에서 자기가 얼마나 버클리에 들어가길 원해왔는지는 얘기하는데,
들어오는데 뭔가 문제가 있었다는 얘기는 없으니
뭐 안식년 같은 건 없었을 거 같고….

+
Iris Jean이 아이리스 진이 아니었다고?
어…. 네덜란드 인이셔?
그럼 이리스 쟝이야?
아니 이게 뭐랄까.
너무 이미지가 흔들리는데?

아, oqop 하기 전에 tp 대기열 정리부터 했어야 했는데
tp 대기열 정리를 빨리 빨리 안 해 놓으니까…
이렇게 국적도 모르고 부르던 이름이 입에 붙어 버리잖아.

아… 근데 또 미국에서 활동하는데
그냥 아이리스 진으로 활동 안 할 보장이 없다는 게 문제네.
인터뷰 자료도 하나도 없어.
아니 노래 저렇게 잘 뽑았으면 인터뷰 요청도 미친듯이 들어왔을텐데
다 거절한 거야?

이거 어떻게 해야하지?
일단 이리스 쟝으로 고치고,
미국에서 아이리스 진으로 활동한다는 게 확인 되는 경우에만
아이리스 진으로 도로 고쳐야겠지?

근데 이리스 쟝은 진짜 너무….
너무 안 어울려.
저 생긴 거에, 노래 스타일에,
아이리스 진이 완전 딱인데.

+
BOVIY의 이 블로그 내 공식 표기는
‘예전에 예전에 비비 안이라 불렸던 보위라 불렸던 봅이’이며,
이 표기는 어떤 이유에서도 단 한 글자도 줄여 쓰지 않음을 원칙으로 합니다.
TP는 음악가 이름과 상세 정보가 한 줄을 넘지 않도록 조정하는 것이 기본이지만,
저 원칙에 따라서 예전에 예전에 비비 안이라 불렸던 보위라 불렸던 봅이에 한 해
두 줄을 사용합니다.

+
이게 정리를 한 달에 한 번씩 하다보니까,
특히 앨범 싱글들이 제깍제깍 올라가지 않고
앨범 나온 뒤까지 웨이틀리스트에 대기하고 있는 일이 생기는데,
이게 여러모로 마땅치 않다.
당장 앨범 나올 때까지는 뭐 하고 있는지 신경도 안 쓰느라 몰랐던 올라 가틀란드는
앨범에서 높이 평가 받아서 TP 상위로 올라가는데,
앨범 박은 애니 해밀턴은 ‘앨범 잘 뽑을 기대치를 고려하여’ TP 상위로 올라가는 게 뭔가…
뭐랄까…
좀 적당치 않다.

문제는 저 애니 해밀턴 앨범 싱글을 들었을 떄,
난 이번 앨범을 엄청나게 기대했단 말이지.
그 때 TP를 업데잇 했다면, 당연히 그 기대가 반영 됐을 거야.
반면 올라 가틀란드 싱글 같은 경우,
정작 싱글이 나왔을 때는 제대로 들어주지 않았지만,
결국 그 때도 제대로 들었다면 TP 상위로 올라왔겠지.
그런데 이렇게 ‘싱글이 나온 시점에 내가 그걸 제대로 들었다면’이란
가정하에 평가한다는 게,
뭐… 사실 불가능한 거잖아?
올라 가틀란드 정도로 체급이 높으면 뭐 나름 괜찮아.
하지만 애매한 체급 애들은…
아 그렇지, 당장 아래 도라 자 있네.
도라 자가 데뷔 앨범을 저렇게 뽑아오지 않았다면,
내가 저 싱글 주목했을까?
저기 가치가 있다고 생각했을까?
그런데 도라 자 같은 경우에도,
내가 저 싱글을 듣고 기대를 높일 수가 없는 게,
이 아이는 아직 자기 세계를 제대로 보여준 적이 없었단 말이야.
그래서 앨범이 나온 뒤, 저 싱글이 저 아이의 세계관에 비춰 무슨 의미인지 알려진 다음에
저 싱글에 걸린 기대치가 너무 달라진단 말이지.
tp에 그걸 고려 안 할 수는 없어.

그리고 그게 제대로 들었다면….의 조건이 된다면,
애니 해밀턴 앨범이 박을 거라는 걸 감안하고 평가하는 것 역시
제대로 들었다면….의 조건에 맞는 거 아냐?

음. 생각해보면, tp는 근본적으로,
낙관적인 상상이 기반이 되어야 하는 프로젝트이긴 해.
그러니까 저 모순되는 이유로 양쪽 다 상위로 올리는 게 이상하지는 않겠네.

back online

Categories 어린 아름다움에 대한 찬가Posted on

메인 SSD를 nvme로 업그레이드 하던 중에
efi 날려 먹고 개뻘짓을 한 끝에 복구했습니다.

현재는 슬롯 부족해서 앙트레포는 뽑혀 있고,
파티션 정리하느라 빈 드라이브가 필요해서 프런트데스크를 다 비웠고,
백업 페어링도 아직 안 돌아가서 백업 드라이브가 비어 있는 상태

뽑아 놓은 E드라이브 하드가 원래 프런트데스크라서
아파치 서버가 있던 유일한 7200rpm 하드인데
이리저리 파일 옮기고 디스크 이름 바꿔놓고 보니 헷갈려서
5400rpm 하드들만 남기고 저걸 뽑아 버렸어요.
(프런트데스크는 분류 전 파일들이 거쳐가는 말 그대로 ‘프런트데스크’라서
그래도 빠른 하드가 필요한데, 다시 본체 뜯고 하드 바꿔 끼우긴 귀찮아요.
sata SSD를 고용량으로 박아넣으면 또 모를까, 굳이 5400/7200차이에…
근데 sata ssd 4테라 제일 싼 게 웨디 블루 35만원인데 이거 맞나?
이제 만드는 곳도 별로 없긴 하겠지만 그렇다고 nvme랑 같은 가격대라고?)
그래서 서버 속도가 미세하게 감소할…. 리는 없죠. 뭐 얼마나 큰 파일을 억세스한다고.

efi 복구하느라 1년간 해체해 놨던 서버 재조립해서 윈도우즈 부팅 USB 만들고 난리 친 덕에…
뭔가 한 건 하나도 없는데 머리가 입력을 거부하는 상태라
드라이브 변경으로 인한 자잘한 오류들은 천천히 고쳐질 겁니다.
뭔가 작동하지 않는 게 있다면 이 글에 리플로 알려주세요.

+
기존 sata ssd를 새 nvme로 클론해서 부팅할 때는 멀쩡했는데,
sata ssd 시스템 파티션 날리고 포맷할 때 efi가 날아간 거 같은데…
솔직히 왜 날아간 건지도 잘 모르겠고,
부틀로드 새로 써서 복구한 지금도
부팅할 때 뭔가 한 단계 더 거치는 것 같은 게 제대로 복구한 게 아니라
내가 새로 쓴 부틀로드가 기존 설정을 오버라이드하고 있는 느낌이다.
efi랑 부트렉은 진짜 모르는 분야라서
뭔가 문제 생길 때마다 그냥 내가 이해한대로 투닥투닥 필요한 명령어 찾아다 고치는데…
내가 해놓은 게 제대로 짜깁거나 완전히 밀고 새로 만들었다기보단
더덕더덕 패치워크 기워 붙이는 거라서 괜히 그렇게 느끼는지도.
오늘은 이건 부트렉으로 복구가 왜 안 되나요? 검색해보고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으니 확실한 건 다 지우고
부틀로드를 아예 새로 써서 올리는 거예요 하는 마소 기술 답변 보고
한 땀 한 땀 흩어져 있는 것들 다 지우고 새로 부틀로드를 쓴 거라
저 지워야 하는 것 중에 뭐 빼먹었을 수도 있고.

+
예전에 엑박 one x에 물려 놨던 1테라 sata ssd가 하나 있다는 생각이 나서
여기저기 탈탈 털어보니 외장 케이스에서 나오네.
프런트데스크를 이 ssd로 교체함.
그럼 이제 i드라이브가 생기는 건데-_-
i는 이름을 뭐라고 하지?

“내가 그것도 모르고 이 짓을 할까봐요?”

Categories 어린 아름다움에 대한 찬가Posted on

지난 싱글에 나 말고도 ‘너 코어스 아니?’란 반응을 보인 노친네들이 좀 있었는데,
이 아가씨 응답이…
그냥 틴 휘슬 갖다 박아 버리는 거 개 웃기네.

뭐랄까 우리는 무시했다기보다는 좀 조심스럽게
저 싱글의 의도를 묻는 쪽이었는데,
이 아이는 발끈하며 내가 그런 것도 모를까봐요? 이걸 어디서 배웠겠어요?
하고 있는 게 참….

일단 이 노래가 지난 싱글보다는 훨씬 이 아이 스타일에 잘 맞는 방향이기도 하고,
뭔가 나갈 방향도 확고한 게 마음에 들기는 하는데,
여전히 그래서 어디까지 갈 거니?란 방향으로 걱정스럽긴 하다.
결국 그 코어스가 실패했다는 게 너무 큰 짐 같아.

이건 좀 재미있네?

Categories 어린 아름다움에 대한 찬가Posted on

너… 코어스라고 아니?
당연히 알 건데 이게 뭐지? 하고 생각해보니
그게 벌써 30년 전이네.
모를수도 있겠다 싶어서 다시 보니,
글쎼.

거기다 코어스는 실패했어.
뭐, 성공하긴 했지만 이걸로 성공한 건 아니고,
아이리시 포크 포기하고 재즈를 붙든 소포모어 앨범이 성공한 거지,
데뷔 앨범은 판매량에 비해서 그 의도를 제대로 호소하질 못했지.
자기 팬들이 ‘거 소프라노 바이올린 거슬리는데 좀 빼소’ 하고 있는 상황에
정작 그 앨범 사준 사람들이 밴드를 규정짓는 핵심 요소들을 싫어하는 상황에
그저 많이 팔렸다고 성공이라고 할 수는 없잖아?

모르겠다.
얘는 성공할 수 있나?
코어스보단 못해.
그건 확실하지.
코어스처럼 자기들이 끄집어 내려는
옛 음악에 대한 이해가 있는 것도 아니고,
기술적으로도 딱히 낫지 않아.
그러니까 못하지도 않지만, 시대를 고려하면 많이 나았어야 한다는 거.
그런데, 그 시대가 달라진 게 좀 크긴 하지.
얘는 코어스처럼 광역 시장에 팔아야 하는 애가 아니야.
그렇게 많이 타협할 필요가 없어.
대신, 이 아가씨가 뭐 하나 진득하게 파는 성향이냐면 그건 또 아니라서
일발로 끝날 가능성이 높…

그렇네?
내가 걱정할 일이 아니잖아?
얘는 그냥 한두번 갖고 놀아보다 흥미 없어지면 다른 거 할텐데.
말했잖아. 브랜드 로열티는 옛날 얘기라니까?
지금의 음악가는 브랜드를 구축할 필요가 없어.
내가 음악가의 브랜드를 걱정할 이유는 더더욱 없고.

+
kidsYellingOutTheirOwnOpinions나
hereIsTheHellOnlyForMe, hyperTextIsMyTemple처럼
앨범, 장르, 음악가 브랜드는 모두 옛날 얘기라는 화두에 관한
토픽 태그를 하나 만들어야 할 것 같은데,
저게 한 문장으로 압축이 잘 안 된다.
사실 kYOTOO도 개 억지 느낌이라 별론데,
이건 아예 구문이 안 나와.
those’re all gone with archival dust가 괜찮나?
기록이 데이터베이스화 되면서,
즉 기록고의 먼지가 더 이상 존재할 수 없기 때문에 의미를 잃은 것들에 대한 이야기니,
저 문장 괜찮다.
다른 토픽 태그들이 너무 직설적이라는 게 문제인데,
이 기회에 고치지.
allGoneWithArchivalDust 정도면 적당하겠고,
kYOTOO는 theSearchForALight으로 바꿀래.
여기가 나만을 위한 지옥은 고치기에는 저 중의가 날아가는 게 아쉽고,
하이퍼 텍스트는 내 성전은 굳이 고칠 필요는 없겠지.

난색 바탕으로 돌아오니 좋네요.

Categories 어린 아름다움에 대한 찬가Posted on

뭐, 아는 사람은 알겠고,
짐작하고 있는 사람은 짐작하고 있었겠지만,
그동안 Precious Phraſe는 베타 버전으로 제공되고 있었습니다.
페이지에 장식 요소가 하나도 없었던 것은
내가 워드프레스와 이 테마의 구조에 완전히 익숙해지고,
6천줄에 달하는 css를 완전히 제대로 제어할 수 있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
그냥 흰 페이지로 내버려두는 게 낫겠다는 생각에서였어요.

그리고 웹폰트를 적용하느라 css를 만지면서,
이제는 베타 딱지를 떼어도 되겠다는 확신이 들었어요.
그래서 지금 이 시점부터 Precious Phraſe 워드프레스판은
정식버전입니다.

뭐… 달라지는 건 딱히 없겠지만요.

+ 아, 달라지는 게 있긴 있네요. 이게 마지막 개발노트입니다.
앞으로는 수정이 표면적인 영역 보다는 기술적인 영역 위주로 될 것이기 때문에
더 이상 수정 사항이 있어도 패치노트를 써서 알리지 않을 거예요.

이글루스판 Precious Phraſe는 연노랑색(#f7f7f1) 바탕색을 썼고,
사실 링크색인 #06a도 그 바탕색의 보색으로 조정된 색이었죠.
워드프레스판의 바탕색은 좀 더 #06a의 보색에 가까운
연주황색(#f8f4ec)으로 결정했어요.
(+ #fffcf4로 조정했습니다.)
조금 붉어졌고, 조금 어두워졌지만,
어쩄거나 Precious Phraſe의 근본인 난색 바탕색으로 돌아오니
이제 정말로 내 블로그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