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azEd and shivEring은
2021년 발표된 앨범, EP 수록곡 중
빼어난 전문성과 숙련도를 보여준 음악가들의 노래를 중심으로 만든
2021년의 베스트 플레이리스트입니다.
Tag: FickleFriends
top prospects 2018
TP는 한해 동안 내 마음에 드는 싱글을 내놓은 유망주들을 정리하는 연간 스레드입니다.
아래의 숏리스트는 이 리스트가 너무 길어지면서 무의미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좀 더 좀 더 까다로운 기준으로 걸러낸 14트랙 플레이리스트입니다
+
2019년 5월 7일자로 TP2019의 기준을 소급하여 풀리스트에서 50여곡을 삭제했습니다.
이 TP 기준 변경은
TP2018에 기존에 충분히 강조되어 온 음악가들이 너무 많아서 행해진 것이기에,
여기에는 소급 적용하는 것이 옳은 것 같네요.
전체 목록
+
우즈 노래는 처음 들었을 때 별로 마음에 안 들었었는데,
그 이야기를 하니까 K가 “엠마 루이스가 저 노래를 내놨다고 생각해봐” 한 마디 해줬다.
하…. ㅅㅂ.
하이고 이 엠마 이 잉여년아 어쩌자고…. 하……
응. 엠마 루이스가 저 노래를 내놨다면 진짜 물고 빨고 난리도 아니었겠지.
하이고… 진짜 그 스탯 가지고 어쩌자고………….
+
이나 브롤센은 TP를 처음 시작한 2016년의 유머포인트였다.
이나 브롤센이 ‘유망주’라는 게.
그런데 올해까지 올라오냐-_-
장난 하는 것도 아니고 앨범 안 내냐 진짜-_-;;;;;
+
에이시스의 Waiting for You를 처음 숏리스트에 올릴 때는,
얼마 안 가서 내려가겠지. 했었다.
그런데 한 달 쯤 지나면서 보니,
이것만한 아우트로가 올해 안에 나올 것 같지가 않다.
++
오랜만에 보니 웨이팅 포 유가 내려가긴 내려갔는데…
그 결과로 숏리스트가 몇 달 째 14번이 없는 상태다-_-;;;
로바 알빌데가 14번 서야하는 플레이리스트라니;;
+
라라 기어의 무명 보정 포인트는 너무 쎄다;;
다시 계산해보니까 첫자리부터 열네번째까지 전부 숏리스트 대상이어도,
라라 기어가 53위 밖으로 밀려야 열네번째 노래가 라라 기어를 자르고 들어갈 수 있는데…
현실적으로 저게 28번째 정도에 걸릴 것을 생각해보면…
라라 기어는 80위 정도로 밀려도 여전히 숏리스트에 이름을 올릴 거란 말이지.
결론은 무명 보정 포인트 계산식을 좀 손봐야겠다는 건데…
이게 라라 기어가 진짜 0에 가까운 무명이라서 무한대 수준의 포인트를 뽑아 버린 게 문제지,
실제로 라라 기어 외에 이 정도 보정 포인트를 받아갈 사람은 또 없을 거고…
계산식 어떻게 만져야할지 얼른 감이 안 잡힌다.
그렇다고 당장 고치기에는 현재의 계산식은 라라 기어 말고는 문제를 일으킨 적이 없단 말이지.
라라 기어 경우에 저렇게 포인트가 미친듯이 불어나버린 가장 큰 원인은
유튜브 채널 구독수 58, 스포티파이 평균 월간 청취 36 때문인데…
구독자나 청취자 수가 아무리 적어도 어느 정도 이하로는 안 떨어지게
최소값 캡을 적용하면… 아니, 아니다.
라라 기어가 이렇게 된 건, 이 아이가 올해 초에 싱글 하나 툭 던지고
다른 활동을 하나도 안 해서잖아.
꾸준히 싱글 내놨으면, 월간 청취가 2~300 선은 됐겠지.
현재까지 내놓은 싱글 수와 당해 분기별로 내놓은 싱글에 맞춰서
누적 수치를 보정해야겠네…
……….
개 귀찮은데-_-?
…………………..
아니 이런 케이스는 앞으로도 10년에 하나쯤 나올 거 같은데-_-
…………….
해야 돼?
………………
그거 해 봐야 별반 차이도 없을 건데?
++
그래, 무명 보정 해줘야지! 라라 기어 정도 무명이면 이 정도 무명 보정 받아야지!
맞잖아. 저게 라라 기어가 아니라 피에였어 봐라.
피에가 저 정도 인지 안 되고 묻혀서 미친 보정 포인트 받고 숏리스트에 있다고 생각해봐.
그럼 그 보정 포인트 당연하고 공정한 거라고 했을 거잖아.
저게 “숏리스트 보장 티켓”을 받기엔 내가 딱히 아끼는 부분이 없는 라라 기어니까 문제인 거잖아.
문제는, 라라 기어의 무명 보정이 이렇게 커져버린 건,
이 아이가 이 노래를 두고 포기해버렸기 때문이라는 거지.
하나, 라라 기어와 똑같은 스탯이라도 1월에 노래를 내놓은 것과,
11월에 노래를 내놓은 게 스포티파이 평균 청취지수가 다를 거라는 거다.
라라 기어는 128 64 32 16 14 12 …. 이런 식으로 가서 평균 36까지 떨어진 건데,
11월에 내놨으면 128 64로 평균 96을 찍을거라는 거지.
또한 비슷한 영역으로,
현재의 무명 보정 포인트에는, 연초에 활동을 하고 반응이 없어서 포기해 버린 가수가,
반응이 없음에도 고집있게 꾸준히 활동을 한 가수보다 더 높은 점수를 받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일단 스포티파이 청취 평균은,
싱글을 하나라도 내놓은 분기의 달만 평균을 내는 정도로 조정해야겠다.
이렇게 조정하면 라라 기어의 숏리스트 보장 하한은 53위가 아니라 38위가 되고,
28번 기준 숏리스트 보장선은 80수준이 아니라 58위가 된다.
연말에 가면 58위쯤에 걸쳐 있을 노래가
노아 사이러스의 We Are, AVEC의 Under Water, 에이시스의 Waiting for You인데,
응. 이 정도 선이면 딱 무명보정으로 숏리스트 들어가는 거 용납되는 노래들이지.
그래, 이게 괜찮은 교정인 것 같다.
top prospects 2016
TP는 한해 동안 내 마음에 드는 싱글을 내놓은 유망주들을 정리하는 연간 스레드입니다.
아래의 숏리스트는 이 리스트가 너무 길어지면서 무의미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좀 더 좀 더 까다로운 기준으로 걸러낸 14트랙 플레이리스트입니다
전체 목록
작년에 하도 어린애들한테 덴 덕에
올해는 좀 체계적인 유망주관리(?)를 하느라 만들어 업데이트 하고 있는 플레이리스트.
유망주 요건은 올해 내 마음에 드는 싱글 내놓은 아가씨 중
작년까지 소포모어 앨범을 안 내놨어야 함.
엘리엇 섬너처럼 1인 밴드가 이름을 바꾼 경우는 지난 작업을 승계함.
She is We처럼 밴드의 주축만 남고 구성원과 이름이 다 바뀐 경우는 지난 작업을 승계하지 않음.
Wild Belle처럼 밴드의 서브 멤버들이 새로 밴드를 꾸린 경우 역시 기존 작업을 승계하지 않음.사샤 시엠이나 누니 바오처럼 아예 유망주로 분류하는게 민망할만큼 터진 음악가는 제외.
“내가 데뷔 앨범에 평점 정수부 8점 이상을 준 경우 제외”로 수정
원래는 30세나 25세 정도로 나이 제한을 달려고 했는데,
특히 피비 스타가 몇년생인지 정보를 찾기 힘든데다,
귀찮아서…
순서는 내 기대치 순위.
20~50번 정도는 순서 조정해야할 애들이 잔뜩인데…
귀찮다. 그러니 순서는 그냥 대충…
중간 기준으로 위로 올렸으면 기대가 상당한 경우, 아래로 뺐으면 별로 기대하는 거 없는 경우.뷔: 라름 출신은 아으로라 하나 뿐이고, 일곱으로 늘었음!
대신 디즈니 출신들이 엄청 끼어든 게 눈에 띄네.
생각해보면 요 근래 뷔: 라름 신인들이
제대로된 파괴력을 보여준 게….
샤를롯터 콸러, 시그리 로버, 아으로라 악스네스, 사샤 시엠, 프뢰커달, 프뢰데르 정도인데…
저기서 중고신인들 정리하고, 자멸 중인 프뢰데르 빼면… 하아.
+ 이거 정리하다가…
시메르즈의 카타리나 스톨텐베르그가
옌스 스톨텐베르그 딸 안나 카타리나라는 걸 알았음.
원래는 비사 재즈 하던 아가씨가 이런 걸 하고 있었나. -_-;;
음. 옌스 스톨텐베릭은, 노르웨이 전 총리.
아마 722 테러 당시 연설 때문에 한국에서도 얼굴 정도는 아는 사람도 꽤 많을 거임.
작곡가로 웬만한 중견 가수 쌈싸먹는 커리어를 가진 이나 브롤센이 여기 올라온 게 개그포인트인가…?
가만? 이나 브롤센도 아스크 엠블라 활동 시작 때 뷔: 라름에 나왔으니
뷔: 라름 출신으로 넣어야 하나?
+ 캠이 이 목록에서 제외 돼버리는 건 좀 뼈아프긴 하다.
정작 작년에 소포모어 앨범이 나왔을 때는 이름 바꾼 걸 몰라서
적당한 대접을 해주지도 못했는데 말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