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mplements of 2024 A

Categories 페르디난드의 제안Posted on

누구 덕에 20일쯤 밀린 2024년의 컴플르먼트 플레이리스트입니다.
작년 컴플르먼트는 따로 제목을 정하지 않기로 했기에, 코드명만 있습니다.
+ 근데 시발 또 계산기 호출 오는데 어째야죠? 안 그래도 존나 바쁜데 거절해야겠지?

the Complement of 2024 AA

the Complement of 2024 AB

the Complement of 2024 AC

the Best of 2024 B: on second thought

Categories 페르디난드의 제안Posted on

on second thought은 2024년의 두번째 베스트 플레이리스트입니다.


1. 도라 자 – Behind The Curtain (No Way To Relax When You Are On Fire #11)

2. 케잇 페터빈 – hang a mirror on yourself (generation numb #01)

3. 엘 콥스 – Outrun This Feeling (Selfishly Inclined #05)

4. 제이드 버드 – You’ve Fallen In Love Again (Burn The Hard Drive #02)

5. 일사 드랑어 – Quiet (Tainted #09)

6. 사야 그레이 – AA BOUQUET FOR YOUR 180 FACE (QWERTY II #03)

7. 비아트릭스 – Swing Set Heart Attack (Vertigo #04)

8. 섬망의 프랜시스 – Something’s Changed (Lighthouse #09)

9. 로웨나 와이즈 – Life Of The Party (Senseless Acts of Beauty #06)

10. 라임 정원 – Fears (One More Thing #08)

11. 올라 가틀란드 – Backseat Driver (Everybody Needs a Hero #04)

12. 수키 워터하우스 – To Get You (Memoir of a Sparklemuffin #08)

13. 줄리아나 매드릿 – Give Me Evil (Lifetime #02)

14. 캐롤 에이즈 – Hope Is a Scary Thing (Late Start #04)

AtoF 2024

Categories 페르디난드의 제안Posted on

Achievement수키 워터하우스Memoir of a Sparklemuffin
Boldness도라 자 No Way to Relax when You are on Fire
Creativity라임 정원One More Thing
Developability딜라일라 브라우Since You’re in New York
Expertness섬망의 프랜시스Lighthouse
Fascination올라 가틀란드Everybody Needs a Hero

Reduced to the Album Art

Categories 페르디난드의 제안Posted on

Reduced to the Album Art은
OQOP, oqtp 수록곡 배제, TP 수록곡 최소화를 기본 방침으로 만든
2024년 상반기 베스트 플레이리스트입니다.


1. 라임 정원 – Fears (One More Thing #08)

2. 아스트리 S – Power Move (Joyride #06)

3. 엘 콥스 – Outrun This Feeling (Selfishly Inclined #05)

4. 케이틀린 타버 – Revisionist History (Quitter #08)

5. 위노나 오크 – Fire Escapes (Void #02)

6. 절박한 주푸들 – SLUT ERA (Welcome to the Lane #02)

7. 미아 베륵 – Summer (Winners #01)

8. 로웨나 와이즈 – Life Of The Party (Senseless Acts of Beauty #06)

9. 바이얼 – apathy (burnout #10)

10. 애비게일 오스본 – Sick (how do you know when it feels right? #03)

11. 샬럿 데이 윌슨 – Canopy (Cyan Blue #08)

12. 피비 스타 – One Step. Two Step. (Dirt #01)

13. 섬망의 프랜시스 – Something’s Changed (Lighthouse #09)

14. 사샤 시엠 – Starting Again (True #08)

분위기가 좀 뒤숭숭한 2주간이었어요.

Categories 로빈 굿펠로우의 전언Posted on

1. 리지 믹알파인 새 앨범 (3-1.1)

좀 많이 실망스럽다.
그러니까, ‘데뷔 앨범은 뜨고 싶어서 했던 멍청한 노래였어요.
난 원래 이렇게 진중한 노래를 해요’ 싶은 앨범이거든.
이 아이가 자기 데뷔 앨범의 장점을 모른다면,
그건 진짜 큰 문제다.

가벼운, 단순한, 그리고 분명하고 말끔한 멜로디의 힘을,
그 가치를 모른다면,
이 아이한테 대체 무슨 가치가 남지?

2. 아샤 제프리스 데뷔 앨범 (7-0.4)

사실상 싱글로 나왔던 Cruise Control과 Brand New Bitch의 투 트랙이긴 한데,
시도 자체는 재미있는 게 종종 보인다.
그런데 트랙 하나로 확고하게 매력을 응축해내질 못해.
그렇다고 앨범 전체로 봐서 가치가 있는가?
하고 물으면 역시 고개는 저어짐.
뭔가 일관적이고 흥미로운 시도가 있긴 한데,
그거 Brand New Bitch 한 트랙에 밑줄 그어주는 걸로 충분하다는 거.
저기에 근접한 매력도, 완성도도 갖춘 트랙이 없어.

3. 섬망의 프랜시스 데뷔 앨범 (8-0.5 8=)

앨범 사기 전에 스포티파이에서 들어보고 잠깐 언급했었는데…
확실히 앨범 전체적으로는 좀 부서진 트랙이 많긴 하다.
반주하고 노래하고 따로 놀아.
원래는 7+0.5 주려고 했는데,
생각해보니 이건 좀 정수부를 높여줄 필요가 있는 앨범이긴 하다.
확실하게 재미있는 시도가 있고,
그 시도를 완성시키기에 충분한 수준 높은 보컬이 있고,
연주와 노래가 따로 논다고는 하지만,
이미 언급한 세 트랙이나 그거 아니더라도
기존 싱글보다 뭔가 좀 끈적한,
그러니까 붙였다 뗀 스티커 정도의 끈적한 케미스트리가 있어.
아예 막 따로 놀지는 않아.
잘 눌러서 조심조심 가만히 모셔놓으면
붙어는 있어.

정수부 8점 줘야 하는 앨범이야.
하지만 그렇다고 점수를 바꾸기는 싫어서,
소수부를 -0.5로 돌아갔는데,
앨범이 마음에 안 드는 건 아님.
+ 생각해보니 점수 이렇게 주는 건 그냥 개 억지라서
8 플랫으로 수정.
수정하는 김에 8+로 수정하는 게 맞지 않나 싶긴 한데,
그냥 7.5+0.5 같은 느낌의 8플랫으로 보는 게 제일 나은 것 같음.
앨범을 잘 만든 건 아니고
진짜 안 들어보면 안 될 노래가 여럿 있어서 그것만으로 정수부를 끌어 올린 거니까.
그냥 소수부 마이너스란 게 말이 안 되는 거니, 플랫으로 타협해야지.

4. 파비애나 팰러디노 (5-1.4)

아니 솔직히 이런 노래로 영업하고 이런 앨범 만드는 건 사기잖아.
물론 스타일에 일관성은 있지만,
그 뭐랄까, 핵심 가치가 다르잖아.
아! 주재료랑 조미료가 반대로 바뀌었잖아.
응? 소고기에 후추 양념 잘 해주겠다고 하고는
소고기 카레를 내놓고 있잖아?
난 정작 그 양념도 별로 맛 없어서 아예 빼 주지 싶었는데 말이야.
이럼 안 되지.
앨범이랑 방향이 다른 싱글을 이렇게 밀면 안 됐지.

아니 근데 진짜 앨범 커버아트부터
이것저것 아주 확고하게 일관적으로 ‘난 이런 노래 할 거예요’ 하고 있는데
이 싱글만 그냥 거기서 벗어나서 툭 튀어 있는 게 개 어이 없네.

5. 엘스 베일리 새 EP (평점… 매겨야 함? 굳이?)

그러니까 음….
뭐 딱히 흠잡을 곳은 없는데,
뭔가 의미도 없지 않아?
이거 그냥 90년대 어덜트 컨템포러리 좀 뒤져보면
이거랑 똑같은 앨범 하나 나올 거 같은데?
그러니까 그 앨범은 아마도 컨트리 기반일 거고,
이건 블루스 기반이지만,
기반이 뭔지 의미가 없을만큼 이미 물을 타버리긴 했잖아?
응? 이만큼 물 넣고 설탕 넣었으면
원액이 라임이었는지, 레몬이었는지, 깔라만시였는지,
알게 뭐임?
이 정도면 그냥 뭐 식초나 비타민C 알약을 갈아 넣었다고 해도 다를 것 같지 않은데?
굳이 포크나 블루그라스 같은 루트 계열 아니더라도
뭐 빅밴드 스윙이나 심지어 디스코를 기반으로 써도 뭐…

아니 이 마지막 노래는 심했잖아.
나 이거 92년에 막내 삼촌이 듣고 있는 거 들은 적 있어.
진짜로.
분명히 이거랑 똑같은 노래 들은 적 있어!
아니 진짜 너무하잖아.
최소한 뭐 개성이 있어야 할 거 아냐.
엘스 베일리가 아무리 정석 잘 하는 가수라지만,
언제부터 이게 정석이냐고요….

6. 브리짓 커니 새 앨범 (4=)

살짝 훑어 들어봤는데,
그냥 대충 넘기면 안 될 앨범 같아서
내일이나 모레쯤 각 잡고 들어봐야겠다.

아니… 그….
왜 10초씩 훑어 들을 때는 이건 또 뭐지 싶었던 노래들이
하나 같이 완성이 안 돼 있냐?

뭔가 아이디어는 좋은데,
곡을 하나로 완성해 내질 못한다.

7. 스코르 남의 보컬 EP (8+0.2)

아…
이게 지난 앨범 노래들이라고?
아니 물론 파위 뷜드하겐이나 아나 브른은
힐다 스코르랑 급이 다른 보컬인 것도 맞지만….
아니 이럼 너 작곡만 해야지.
그걸 증명하고 자빠져 있으면 어떡하니…
이거 봐. 그냥 90초부터 아나 브른 노래 시작하니까 공기가 바뀌잖아.

이게 애초에 너처럼 얇은 보컬이 부를 수 있는 노래가 아니었잖아.
지난 앨범 왜 이러나 싶었는데,
자기 노래를 쓴 게 아니었어.
아니 싱어 송라이터가 남의 노래를 쓰고 자빠졌으면 어떡하니?

(+
이게 여러 번 돌려 들어보니
아나 브른과 파위 뷜드하겐의 압도하는 방식 자체가 완전 반대인 게
좀 웃긴다.
아나 브른은 그냥 입 떼는 순간 압도적인 존재감으로 노래를 바꿔 버리지만,
힐다 스코르의 배킹 보컬과 서로 시너지를 쌓는 반면,
파위 뷜드하겐은 있는 듯 없는 듯 스며 들더니
노래가 끝날 때는 힐다 스코르를 아예 지워 버리고 있다.
좀 아쉬운 게, 파위 뷜드하겐이 힐다 스코르와 속성이 많이 다른 보컬이었으면
더 재미있는 그림을 만들어냈을 것 같은데,
속성이 많이 겹치다보니 그저 지워 버린다는 거.)

그리고 에밀리아 니콜라스가 붙은 매드 우먼은..

확실히 음색 결이 다른 두 보컬 시너지가 크긴 하다.
힐다 스코르의 얇은 보컬로 진행된 저 콰이어는 혼자서는 더럽게 재미없었는데,
이건 재밌잖아.

+
근데 이거 아이프레임 타겟 다는 거 너무 귀찮다.
솔직히 쓰는 사람도 별로 없을텐데,
안 할래.

++
아예 타겟 링크 대신 새 아이프레임을 넣는 쪽으로 수정.
앞으로 이런식으로 써야지,
일일이 블럭 깨고 html 오브젝트로 수정해서
네임 어트리븃 다는 거 못하겠어.
tp나 플레이리스트는 그냥 만들어진 템플릿 복사해서 쓰면 되지만,
이렇게 글 중간에 집어 넣는 건 어우……..
확실히 원래 아이프레임으로 올려 넣어주는 게
인터페이스 적으로는 낫기는 한데….
저거 할 때마다 반응형에서 제대로 돌아가는지도 체크해야하고
너무 귀찮아.

+++
아니 근데 진짜 네임이나 id는 마음대로 좀 추가할 수 있어야 하는 거 아냐?
이게 블럭 깨는 게 그냥 원 클릭으로 깨지는 것도 아니고,
오브젝트 수정을 세 번이나 해야하는데다
반응형에서 다른 블럭들이랑 같은 서식으로 움직이게 해야하니
기본 미리보기에서 클래스도 복사해 와야 하고…
아니 네임이나 id는 추가 가능하게 해줘야지…
괜히 반쪽짜리인 자체 네임 기능은 만들어 놔서
타겟을 제대로 못 가지고 놀잖아.
아우… 그냥 수정할까? 근데 이거 워드프레스 메인을 건드려야하잖아.
그거 업데이트 할 때마다 관리해야하고…
싫어………………… 그건 싫어.

8. 매기 로즈 새 앨범 (5=)

어… 뭐랄까, 순서를 좀 잘못 고르긴 한 것 같다.
매기 로즈도 보컬이 얇은 편인데,
앞에서 아나 브른에 파위 뷜드하겐 다섯 바퀴씩 돌리다가
이 앨범 붙드니까 되게 보컬이 초라하게 느껴져.

매기 로즈는 보컬이 탁한 거지 두터운 게 아닌데,
이게 오래 안 듣다보면 헷갈린다.
파위 뷜드하겐처럼 맑고 높은 애들은 두터워도 얇다고 기억 되고,
매기 로즈처럼 탁하고 낮은 애들은 얇은데도 두텁다고 기억 돼.

뭐 어쨌든,
저번 앨범처럼 잘 만든 앨범은 아니야.
그런데 흠 잡을 것도 딱히 없어.
그냥 빤한 5-6포인터 느낌.

5플랫과 6플랫 사이에서 고민을 했는데,
지난 앨범이 있는데
굳이 별 볼 일 없는 매기 로즈 앨범이 의미가 있냐는 점에서
5플랫 줬음.
근데 그렇게 생각해보니 4플랫 줘도 안 이상한 것 같긴 함.

9. ZZ 워드, 그리프, 매기 로즈로저스요 매기 로저스, 왜 매기 로즈라고 쓴 거야?

그냥 언급할 가치가 없다.
뭐 막 못 만들었다는 건 아니고,
아니 못 만들었으면 그거라도 언급할만 하지.
그리프 정도는 뭔가 뭔가 있는 것도 같은데,
굳이? 굳이 다시 들어본다고? 싶은 정도다.
아샤 제프리스 앨범이나 한 번 다시 훑어 본다면 몰라도….
그런데 그것도 안 할 거잖아.
셋 묶었다고 이렇게 길게 커멘트하는 것도 과하긴 하다.

10. 라이라 (5+0.8)

뭐랄까 내가 Chess을 높이 평가한 것도
이것보다 한 발 더 나갈 수 있을 거란 기대에서 높이 평가한 거라서
좀 애매한 느낌이다.

결국 출세곡인 Falling을 넘는 노래를 하나도 못 만들어온 건데,
그나마 Falling은 온갖 곳에 스트리밍 금지를 박아놨네… 대체 뭔가 싶다.

+
아, 이거 전송권이 갈기 갈기 찢어져 있네.
자기도 어느 나라 전송권이 어디 있는지 잘 모르겠어서 그냥 일괄로 막아 버린 거구나.
근데 풀린 나라가 어딘지 모르겠다.
미국도 막혀 있는 걸로 나오는데
이게 정말로 막힌 건지, 내 프록시 IP가 막혀 있는 건지 모르겠으니.

11. 제이드 버드 새 EP (7+0.6)

제이드 버드가 정말 오랜만에 올린 하드 포인트.
이 아가씨가 그 동안 얼마나 날 실망시켰는지는
(이번 전언이 8포인터 기대치가 있는 가수들도
한참 아래로 내려올 정도로 중견급 네임 밸류가 좀 두텁긴 했다지만
제이드 버드도 한참 내 기대를 받을 때는 그 ‘8포인터 기대치가 있는 가수’였으니.)
이 전언에서 11번(엄밀히는 13번)까지 밀리는 것만 봐도 드러나는데….

이 노래는 싱글로 끊어져 나온 노래에
봤다고 빨간 줄 그어져 있는데
난 들어본 기억조차 없다.
그냥 10초쯤 끊어 들어보고는 별거 없네 하고 패스했겠지.
이게 딱 끊어 들었을 때 별 거 없어 보일 법한 노래기도 하고.

오히려 그렇게 기대치가 아예 날아가 버린 덕에,
뭐했는지 기억이 안 나서 들어봤지,
뭔가 기대하고 있었다면 하… 내가 이걸 들어봐야 해? 하고 안 들어봤을 듯

12. 극지 호수 데뷔 앨범 (5-0.9)

어…. 이게 그냥 작년 EP 재활용 앨범이긴 한데
(작년 7트랙 EP에 타이틀 트랙 하나 추가, 스튜디오 라이브 트랙 3개 추가니)
작년에 그 EP 가지고 아주 개지랄을 쳐댄 덕에
난 들어 보지도 않았다.
처음 나왔을 때는 바빴고,
두번쨰 나왔을 때는 프라임 시즌이었고,
연말에 정리할 때는 두 번 나온 EP를 내가 왜 듣고 있어야해 싶었지.

사실 이 앨범을 들어본 것도
이게 작년의 그 EP란 걸 짐작도 못했기 때문이긴 하다.
그런데, 작년 EP 들어봤으면 이 앨범 안들었을 것 같긴 하다.
잘 만들어진 트랙은
추가된 저 타이틀 트랙과 스튜디오 라이브 트랙들뿐이 거든.

원래 극지 호수는 신스를 참 잘 쓰는 밴드였는데,
신스가 배제된 스튜디오 라이브가
원곡에 비해 훨씬 낫다는 건 큰 문제이긴 한데,
사실 그게 문제라고요! 하는 것도 뭔가 이상하긴 하다.
너…. 그거 애초에 안 들었잖아.
쟤네가 잘 쓰던 신스로 잡질할 때 그러고 있는지 알지도 못했잖아.

그냥 디칭하는 게 맞는 것 같긴 하다.
에마 포스터가 좋은 보컬이긴 하지만,
대체 못할 보컬은 아냐.
그 정도 급에는 한참 못 미치지.
이 밴드가 이렇게 헤맨다면….
에마 포스터 하나만 두고 지켜볼 의미는 없어.

13. 모건 세인트 진 새 EP (평점 없음)

참 잘했어요.
본인 역량에 잘 맞는 노래고,
누군가는 좋아해줄 노래네요.
그런데 안타깝게도 나는 그 누군가가 아니에요.

그러니까, 내가 평가하지 않는 게 맞겠죠.

어라? 너 이런 노래도 하는 애였니?

Categories 페르디난드의 제안Posted on

지난주에 섬망의 프랜시스 데뷔 앨범이 나왔다는 소식에,
잠시 훑어 봤다.
그러니까, 이제 완전히 디칭을 할 지,
아니면 여전히 연옥에 남겨놓을지…
앨범이 나왔으면 결정을 해야 하겠다 싶었어.
필요하다면 앨범도 한 바퀴 돌려 보고.

그런데 쭉 그 동안 작업들을 훑어 보다보니,
저게 바로 눈에 밟혔다.
그러니까 내가 이 꼬맹이한테 늘 바라던 게,
보컬 제대로 올린 하드락 매터리얼,
정확히는 저것보다 좀 더 하드한 영역이었는데…
저거면 대충 비슷하게 나가는 건 맞잖아.
늘 왜 노래를 대충 흩뿌리고
하드락 매터리얼은 노래랑 별개로 강세 주는 반주로만 쓰는지 의아했는데,
이런 거라면…

그래서 앨범을 훑어 보니,

이렇게 조금 더 내 요구에 정조준 된 트랙도 있네?

어…
어…

이건, 핀업을 해야겠죠?

그러니까.
이 꼬맹이가 그 맥빠진 싱글을 내놓는 동안 내내
핀업 할까? 핀업 할까?
마커 하나 낭비할 가치가 있…..지 않나?
해왔던 게
결국 내가 원하는 노래를 안 부르더라도
저 보컬을 못 버리기 떄문인데,
저렇게 아직 내 요구를 충족하지는 못하더라도
적어도 분명히 이 쪽으로 조준한 트랙을 만든다면….
응.
그건 핀업 해야지.

근데 저 세 트랙 때문에 11트랙 앨범 사는 건
쪼끔…. 돈 아깝다는 생각이 들긴…. 하네.
그냥 살짝 눈만 돌렸다 자기 갈 길 갈 확률이 더 높은 아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