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 first sight은 2024년의 첫번째 베스트 플레이리스트입니다.
Tag: NinaNesbitt
OQOP: 2024 4th
one quarter, one playlist은 각 사분기의
뮤직비디오와 리릭비디오 등을 정리하는 연재물입니다.
올해가 OQOP가 시작된 2015년 이래 최악의 작황을 보여준 해긴 하지만,
3사분기에 제대로 박았던 작황이 프라임 시즌에 살짝 숨통이 트이긴 했고,
그래도 이번 분기는 나름 괜찮은 편이었어요.
OQOP에 꼭 들어가야하는, 자리도 정해진 트랙들이 많아서 oqtp를 포기하자마자
거의 아무 고민 없이 플레이리스트가 완성 됐죠.
결과물은 확실히 나쁘지 않아 보여요.
테일러 비켓이나 에밀리 번스는 확실하게 자기 역할을 했고,
앨범은 제대로 꼬라박은 애니 해밀턴도 싱글 하나는 잘 뽑아왔으니까요.
(물론 평소라면 인트로 아우트로 다 있고 삽입음도 있는 이 뮤직비디오는
일찌감치 후보 제외였을 거란 게 함정)
그리고 정말 오랜만에, 3번 부족을 고민하지 않은 OQOP라서 좀 뒷맛이 개운하네요.
3번 가능 트랙이 다섯개라니.
.. honorable mentions입니다.
빌리 라풀의 Homebody는 마땅한 자리가 없어서 빠졌습니다.
되씨의 홀라 파스트 정도는 제끼고 13번으로 들어갈 수도 있을 것 같긴 했는데,
홀라 파스트 – 패러슈트의 조합이 그냥 너무 좋았어요.
이 노래를 13번으로 넣으면 14번도 바꿔야 하는 상황이라서 영 마땅치 않았죠.
앤드류 버드와 매디슨 커닝햄은, 이 프로젝트 앨범 평을 하면서도 지적했듯이,
그냥 조합이 너무 나쁩니다.
노래 잘 뽑았죠.
앤드류 버드 자기 노래 잘하고 있고
매디슨 커닝햄 자기 노래 잘하고 있어요.
근데 합쳐 놓으면 개지랄이 나고
그나마 이렇게 시너지는 안 나도 가까스로 서로 사보타주는 하지 않은 노래도
다른 노래 사이에 집어 넣으면 그냥 개같이 툭툭 튑니다.
이거 플레이리스트에 못 써먹는 노래예요.
난 올해 컴플먼트에서 이 앨범 노래는 일괄 배제하는 것을 생각하고 있어요.
그냥 이걸로는 플레이리스트 못 만듭니다.
이비 아이리는 ‘내가 이 아이를 잊지 않고 지켜보고 있어요’ 특별전형을
차지할 노래를 가져왔지만….
역시 자리가 영 마땅치 않더라고요.
솔직히 oqtp 없는데 한 급 떨어지는 노래를 특별전형으로 넣어주는 건 좀 그렇죠.
사야 그레이의 Shell은 이 노래가 나온 10월초부터
이번 OQOP의 6번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사실 어제까지도 이거 말고 6번은 따로 없다는 생각이 강했어요.
하지만 대니엘라 앤드레이드의 Biking이
원래 생각했던 2번 8번 9번 11번 13번 어디에도 자리를 잡을 수 없다는 결론이 나오자
그냥 사야 그레이 밀어내고 6번에 넣는 것 말고는 답이 안 나왔어요.
기계가 번역가를 완전 대체하진 못하죠, 하지만 그게 번역하기 어려운 표현 때문은 아니에요
처음 이 노래가 나왔을 때, 번역을 해보려고 했었다.
저 콰이어의
“I’m a deep cut, a b side and extended version
a language they don’t speak, a shape that’s emerging
but you, not with you”가
너무 번역해보고 싶은 상승구라서, 저 not with you에 이르러 전부 터져 나가는 이미지를
정말 한국어로 담아보고 싶었는데….
시작하자마자 그냥 높은 벽에 부딪혔지.
“lost my defences, now I’m defenceless with you”
저 말이 무슨 뜻인지는 아마 영어를 잘 못하는 사람들도 알 수 있을 거다.
보이는 그대로의 말이야.
하지만 번역?
그냥 불가능하다.
lost defence와 defenceless with you를 하나로 받아주는 키워드를 찾을 수 없는 건 당연하고,
애초에 defenceless with you를 한국어로 뭐라고 번역한단 말인가?
저 with의 모호함을 한국어에서 어떻게 표현할 수 있냔 말이야.
그리고 그 모호함을 정작 내가 번역하고 싶었던 not with you까지 끌고 가야한다.
어떻게 해? 뭘 해봤자 못하지.
그런데 이런 얘기를 하다보면,
가끔,
그래서 결국 AI 번역이 인간을 대체할 수는 없는 거죠 같은 말을 하는 사람을 만난다.
어….
음….
그러니까….
이런 거 걔네가 더 잘해요.
사람은 열심히 머리에서 단어 하나 하나 떠올리며 매치해야하는데,
걔네는 그냥 연관도 정렬해서 하나씩 억지로 집어넣어보고
그 표현이 얼마나 자연스러운지도 그냥 용례 데이터 분석 돌리면 돼요.
저건 어차피 사람은 못하는 번역이고,
저 번역을 가능하게 하는 한 문장을 찾을 가능성이 있는 건 기계 쪽이지,
사람 쪽이 아니에요.
사람은 기계가 ‘대충 이만하면 자연스럽지 않나요?’하고 내놓은 표현이
정말로 자연스러운지, 그렇지 않은지 판단하는 걸 잘하는 거지.
저런 표현을 찾는 걸 잘하지는 못해요.
언어는 결국 정보를 사람이 이해 가능하게 옮겨 놓은,
‘사람의 도구’이기에,
언어를 언어로 기능하게 만드는 건 사람이 기계보다 잘할 수 밖에 없어요.
어쩔 수 없죠. 기계가 아무리 발전해도 결국 사람이 어, 그건 이상한데? 하면 끝인걸요?
그 기준을 만드는 게 사람인걸요?
하지만 패턴찾기는 처음부터 기계의 영역이라고요.
거기다 애초에 찾을 패턴이 존재하지 않는 걸 못 찾는다는 게
어떻게 기계의 단점이 되냐고요.
top prospects 2016
TP는 한해 동안 내 마음에 드는 싱글을 내놓은 유망주들을 정리하는 연간 스레드입니다.
아래의 숏리스트는 이 리스트가 너무 길어지면서 무의미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좀 더 좀 더 까다로운 기준으로 걸러낸 14트랙 플레이리스트입니다
전체 목록
작년에 하도 어린애들한테 덴 덕에
올해는 좀 체계적인 유망주관리(?)를 하느라 만들어 업데이트 하고 있는 플레이리스트.
유망주 요건은 올해 내 마음에 드는 싱글 내놓은 아가씨 중
작년까지 소포모어 앨범을 안 내놨어야 함.
엘리엇 섬너처럼 1인 밴드가 이름을 바꾼 경우는 지난 작업을 승계함.
She is We처럼 밴드의 주축만 남고 구성원과 이름이 다 바뀐 경우는 지난 작업을 승계하지 않음.
Wild Belle처럼 밴드의 서브 멤버들이 새로 밴드를 꾸린 경우 역시 기존 작업을 승계하지 않음.사샤 시엠이나 누니 바오처럼 아예 유망주로 분류하는게 민망할만큼 터진 음악가는 제외.
“내가 데뷔 앨범에 평점 정수부 8점 이상을 준 경우 제외”로 수정
원래는 30세나 25세 정도로 나이 제한을 달려고 했는데,
특히 피비 스타가 몇년생인지 정보를 찾기 힘든데다,
귀찮아서…
순서는 내 기대치 순위.
20~50번 정도는 순서 조정해야할 애들이 잔뜩인데…
귀찮다. 그러니 순서는 그냥 대충…
중간 기준으로 위로 올렸으면 기대가 상당한 경우, 아래로 뺐으면 별로 기대하는 거 없는 경우.뷔: 라름 출신은 아으로라 하나 뿐이고, 일곱으로 늘었음!
대신 디즈니 출신들이 엄청 끼어든 게 눈에 띄네.
생각해보면 요 근래 뷔: 라름 신인들이
제대로된 파괴력을 보여준 게….
샤를롯터 콸러, 시그리 로버, 아으로라 악스네스, 사샤 시엠, 프뢰커달, 프뢰데르 정도인데…
저기서 중고신인들 정리하고, 자멸 중인 프뢰데르 빼면… 하아.
+ 이거 정리하다가…
시메르즈의 카타리나 스톨텐베르그가
옌스 스톨텐베르그 딸 안나 카타리나라는 걸 알았음.
원래는 비사 재즈 하던 아가씨가 이런 걸 하고 있었나. -_-;;
음. 옌스 스톨텐베릭은, 노르웨이 전 총리.
아마 722 테러 당시 연설 때문에 한국에서도 얼굴 정도는 아는 사람도 꽤 많을 거임.
작곡가로 웬만한 중견 가수 쌈싸먹는 커리어를 가진 이나 브롤센이 여기 올라온 게 개그포인트인가…?
가만? 이나 브롤센도 아스크 엠블라 활동 시작 때 뷔: 라름에 나왔으니
뷔: 라름 출신으로 넣어야 하나?
+ 캠이 이 목록에서 제외 돼버리는 건 좀 뼈아프긴 하다.
정작 작년에 소포모어 앨범이 나왔을 때는 이름 바꾼 걸 몰라서
적당한 대접을 해주지도 못했는데 말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