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베스트 부록: 양녀, 생녀, 탕녀는 베스트 플레이리스트의 거울상으로 만든
2023년의 첫번째 컴플르먼트 세트입니다.
the Best of 2023 A appendix: the Name with an E
the Best of 2023 B appendix: the Banners filled the Horizon
the Best of 2023 C appendix: the March into the House
2023 베스트 부록: 양녀, 생녀, 탕녀는 베스트 플레이리스트의 거울상으로 만든
2023년의 첫번째 컴플르먼트 세트입니다.
the Best of 2023 A appendix: the Name with an E
the Best of 2023 B appendix: the Banners filled the Horizon
the Best of 2023 C appendix: the March into the House
the Medicine on the Lips은
항상 잘하고 있지만 내게 저평가 받아온 음악가들의 노래를 중심으로 만든
2023년의 세번째 베스트 플레이리스트입니다.
the Hand with a Solemnity는
언제나 내 주목을 받아온 음악가가
기대에 걸맞게 잘 뽑아낸 노래들을 중심으로 만든
2023년의 두번째 베스트 플레이리스트입니다.
the Smoke in the Distance은
올해 나온 앨범에 수록하는 것을 포기한 기존 발표 싱글,
혹은 앨범 전체 방향에서 고립시켜 수록한 트랙들을 중심으로 만든
2023년의 첫번째 베스트 플레이리스트입니다.
일단 후천적으로 rightful이나 natural이 되는 게 불가능하다고 보면
가능한 조합은 20개,
orphan-good이나 prodigal이 대체 누구에 대한 good이나 prodigal이냐는 문제가 있고,
rightful-good은 조금 의미 없어 보이고,
rightful-adopted은 원칙적으로는 r-o-a 테크를 타야하니까
존재할 수 없긴 한데, 실제로 따져보면 r-a라 할만한 게 좀 나올 거 같음.
그래서 대충 16-20개 (베스트 어펜딕스 3개도 있지만 이건 별개로 돌아가니까)
준비된 풀은 323곡으로 최대 23개 분량.
대강 각이 나올 것 같긴 한데,
제목이 문제다.
베스트의 형식에 맞추려면
저 18명의 캐릭터와 그 캐릭터 속성을 정리한 정명+전치+성명 구를 찾아야 해.
r-o은 해믈릿?
g-o은? 엠마 순스?
a-o은? 어… 이거, 라이라 벨라스콰 같긴 하다.
엄밀히 말하면 고아가 아니고,
역시 엄밀히 말하면 입양도 아니지만,
표면적으로는 ‘입양’되었고 자의로 고아로 돌아가니까.
n-o은 존 스노우네. 아 근데 나 얼불노 원서 없는데…
p-o은 찾으면 꽤 나올 텐데 생각나는 게 없다.
+ 비토 코를레오네로 확정
o-g이 개 어려우니까 이걸 안 만들기로 하고. +이걸 바이올릿 보들레어로 만들고
r-g은 의미 없으니까 이것도 안 만들고,
a-g은 제나 힙? 좀 안 어울리지만 딱히 더 좋은 대안도 생각 안 나.
n-g이 개 어렵긴 한데, 헨리 피츠로이? 개 역겹긴 하지만 good이라고 할 수 있겠지?아들이 아니고 ‘성적 대상화된 뱀파이어’로서 good이고 reliable이긴 한데…진짜 역겹지만 n-g이 워낙 어려워서 헨리 피츠로이 정도면 최상급이야.근데 블러드 프라이스 원서 어디서 구하냐… 그게 있을 리가….거기다 그걸 돈 주고 살 순 없어. 고작 이런 거 하자고 그걸 돈 주고 살 순 없어.
+ 이걸 폐기.
p-g은 너무 전형적인 prodigal이라서… 너무 많아서 탈임.
그러니까 좀 유머러스한 방향이 좋을 거 같음.
+ 이거 안나 실로테시타인, prodigal 해야하는데 천성이 good인 캐릭터로.
o-a은 너무 많은뎁쇼? 이거 나중에 더 가늘게 걸러서 다시 찾아봐야 할 것 같고.
r-a…. r-a…. 이거 어린 여제랑 프랜시스 카디나스인데….
프랜시스 카디나스는 rightfulness를 스스로 만든거라서 좀 약함.
반면 어린 여제는 adoption이 소설에선 중요한 이벤트지만 어린 여제의 캐릭터 자체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않기 때문에 좀 그럼.
어린 여제는 이름을 지어 받든 말든 그 존재 자체로 자연함.
내가 이 캐릭터를 어린 여제라고 부르지
그 소설 내에서 지어준 이름으로 부르지 않는 것만 봐도, 뭐.
프랜시스 카디나스 쪽이 맞는듯.
g-a 테나르. 무조건 테나르. 그냥 테나르 이름 단 플레이리스트가 눈에 보여.
클라우스 보들레어가 더 이 분류에 어울리는 캐릭터지만, 웃기지마. 테나르야.
n-a은 코제트. 이 계열 캐릭터 중엔 독보적이고.
p-a 아, 싫다. 싫은 조합이다. 더럽게 재미없는 캐릭터다. 뭐가 있을까?
아! 베스 하몬. 미쳤네, 입양전에 마약도 하잖아.
o-p 아! 아나킨인데! 이거 아나킨인데! 실제로 adopted도 없이 prodigal이야.
근데… 영화는 안 되는데… 희곡도 아슬아슬한데 영화는 캐릭터 묘사도 없고
텍스트 붙들기가 쉽지 않아. 무스타파 듀얼 무렵 다룬 소설이 있나?
있다한들 어디서 구하지?
r-p은… 아, 이거 뭔가 딱 잡힐만한데, 이 기억에서 가물가물한 캐릭터가 누구지?
아! 아이넌이구나….
아이넌 보다 더 좋은 게, 아서스. 아서스네. 워크래프트 소설들도 번역본만 있을텐데…
g-p +하비 덴트
a-p +양강
n-p +광해군?
+
prodigal들이 대개 재미가 없다.
그래서 찾기가 싫어.
++
트랙이 대충 75개가 남는데,
rn, nr, or 3개 한 세트 더 만들어도 될 것 같다.
rn은… 바로 생각나는 건 조프리 바라테온인데
같은 소설에서 둘 나오는 건 별로니 좀 더 생각해봐야지.
아… 이거 있지 않나? 빅토리아 시대 소설 중에….
두 자매가 알고보니 부모 결혼이 적법한 게 아니란 걸 아버지 사망 후에야 알게 돼서
집에서 쫓겨나고 고생하는 얘기가….
이지와 다감인가? 아니야, 이지와 다감은 그냥 상속을 못 받은 거지
사생아로 전락한 게 아니었어. 두 자매도 아니고.
매거릿….이었나? 셋째 딸 있었어.
이게 뭐지? 무슨 소설이지?
아, 윌키 콜린스 소설이다. 이름받지 못한.
주인공 이름이… 맥덜린 밴스턴이네.
이름 개 안 예쁘다…-_- 진짜.
nr은 이거 좀 많이 어려운데?
어라? 잠깐? 예수? 어? 이건 진짜 예순데….?
rn이 막달라고 nr이 예수면 뭔가 좋은 한 쌍이기도……
그리고 예수가 모티프인 캐릭터들 몇몇 떠올려 보니까
바로 아라고른이 나오긴 하는데…
아라고른은 n은 아니지? ar에 가깝지.
근데 애초에 nr보다 ar을 만드는 게 맞는 것 같긴 하네
nr은 좀 말이 안 돼.
그럼 ar로 아라고른,
or은? 루크 스카이워커 괜찮네. 아, 잠깐, 이미 아나킨 썼잖아. 다른 거.
아나스타샤 좋다. 어, 근데 이건 진짜 영화 밖에 없잖아?
귀찮은데…
TP2023 최종본입니다.
이후 발표되는 곡은 내년으로 이월됩니다.
TP는 한해 동안 내 마음에 드는 싱글을 내놓은 유망주들을 정리하는 연간 스레드입니다.
+
밸런티나 사이는 작년에 8트랙 소포모어 앨범을 내놓아서
TP 대상이 아니지만, TP의 정수에 가까운 트랙을 뽑아온 관계로
‘이보다 더 TP의 정수에 가까운 트랙이 둘 이상 나오지 않는 한’
특례로 TP2023의 2번 자리를 보장 받습니다.
+
해너 그레이스는 원래 세탁해버린 데뷔 앨범 고려해서
2020년 앨범을 소포모어로 취급하고 졸업시킬 생각이었는데,
저 노래 받아 들고 그냥 한 번 더 넣기로 했다.
데뷔 앨범 스타일 버린 것을 오래 미워했었는데,
이렇게 잘하는 애를 어떻게 더 미워할 수 있겠나?
+
어우 복원하기 힘들다.
++
열심히 복원해 놓고 생각해보니,
아니 이제 모든 어트리븃을 다 쓸 수 있는데,
왜 테이블 노가다를 하는 병신짓을 하고 있었지?
-_- 레이어로 훨씬 명료하게 교체!
+
그러고보니 제니비브 스톡스는 진짜 미친 게,
소피 할러핸이나 로지 H 설리반이나
다 2002년생 기대감 버프 받고 저 자리에 올라가 있는 건데
(로지 H 설리반은 뭐 스스로 증명한 것도 있긴 하지만
갈수록 그 점수를 까먹고 있기도 해서)
제니비브 스톡스 2001년생이야.
근데 특별히 생년 신경 쓰지도 않고 그냥 잘해서 올려놓은 게 저 자리야.
그것도 뭐 있는 자원 없는 자원 박박 긁어서 내놓은 것도 아니고,
그냥 있는 그대로 정직하게 툭툭 때려 넣는 걸로 저래.
+
조이 고를 조이 코로 표기할 지 조이 고로 표기할 지 한참 고민했다.
저 Ko가 만약 민어계 허씨면 코로 표기해야할 텐데,
광동계 고씨나 오어계 갈씨면 고로 표기하는 게 맞다.
아예 한국계라면 역시 고로 표기하는 게 맞고.
문제는 조이 고 본인은 이걸 [코]에 가깝게 발음하고,
여러 맥락을 볼 때 그 부모도 [고]보다 [코]에 가깝게 발음할 것 같다는 거지.
그러니 내 이름 표기 원칙대로라면 조이 코가 맞다.
하지만 근래 중국계, 혹은 동남아 화교계 아이들의
자기 성을 세탁하는 경향을 무시할 수는 없다.
이 아이는 그 경향속에서 자신의 동아시아 뿌리를 확고하게 밝히는 것을 선택했어.
그런데 아마도 높은 확률로 잘못 발음하고 있을 성을 자기 발음하는대로 적어야 할까?